[박동휘의 재계 인사이드] '승계 플랜' 못 짜는 기업의 운명
입력
수정
지면A29
박동휘 산업부 기자
스티브 잡스는 병으로 회사를 떠나야만 했을 때 공급망 관리의 달인이었던 당시 최고운영책임자(COO) 팀 쿡을 2011년 애플의 최고경영자(CEO)로 선발했다. 월마트는 창업자인 샘 월튼 가문이 여전히 주요 경영진과 이사회에 참여하며 전문 경영인을 통해 회사를 운영한다. 록펠러는 공익재단에 전 재산을 환원하고, 재단이 기업의 최대주주로 올라서도록 함으로써 창업 정신을 유지하고 있다.
독일에 팔려간 스웨덴 뿌리 기업
중요한 건 승계 플랜을 가동할 수 있느냐이지, 어떤 방식으로 승계하느냐는 부차적인 문제다. 프랑스 제1의 수출품을 만드는 기업이자 ‘명품 제국’을 일군 LVMH(루이비통모에헤네시)그룹의 베르나르 아르노 회장이 후계자를 양성하는 방식은 과거 절대 왕정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핵심은 창업가 정신의 계승
TSMC를 창업한 93세 모리스 창이 가슴에 최고 영예의 훈장을 달던 지난 4월, 짐작건대 대만의 ‘산업 영웅’은 인생의 화려한 피날레를 누리는 그 순간에도 마지막 숙제를 잘 해결하고 있는 것인지 고민에 빠졌을 것이다. 세계 반도체 수탁생산(파운드리) 시장 부동의 1위인 TSMC를 누가 승계할 것이냐는 대만의 탈중국과 직결된 사안이다.모리스 창에 이어 마크 리우가 올해까지 6년간 회장직을 이끌었고, 후임으로 부회장이던 C C 웨이가 올 주주총회에서 회장직에 선출됐다. 그나마 리우 회장 시절엔 모리스 창이 후견인 역할을 했지만, 그의 나이를 감안하면 웨이 회장 시대의 TSMC는 그동안 가보지 않았던 길을 가야 한다. TSMC는 글로벌 금융 큰손 등 외국인 지분율이 75%에 달한다.기업 경영의 역사에서 최대 난제 중 하나는 승계 과정에서 창업가 정신을 어떻게 유지할 수 있느냐로 집약된다. 국가 간 첨단 산업 전쟁이 치열한 요즘엔 나라를 대표하는 주요 기업이 어떤 방식으로 세대 간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느냐는 나라의 명운을 좌우할 정도로 중요하다.
그래서 글로벌 주요 기업들은 이른바 ‘승계 플랜’을 오랫동안 준비한다. 아르노 방식이건, 모리스 창 방식이건 정답은 없다. 마치 정답이 있는 것처럼 강요하는 우리 사회의 편견은 그래서 우려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