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 치료 골든타임 찾나…서울대병원, 7~8세에 뇌혈류 변화
입력
수정
주의력결픽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이 특정 연령대를 중심으로 뇌 혈류가 크게 달라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 연령대에 바뀐 혈류가 이후에도 고정되기 때문에 맞춤형 치료를 하는 등 치료 골든타임을 설정할 수 있다는 의미다.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정신건강의학과 임유빈 임상강사)과 손철호 영상의학과 교수팀(의생명연구원 송희진 연구교수)은 동맥스핀라벨링 관류자기공명영상(ASL-MRI)을 활용해 ADHD와 정상 아동의 뇌 활동 발달 경로를 비교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3일 발표했다.ADHD는 학령 전기와 학령기 아동 5~10%에게 발생하는 대표 신경 발달 장애 중 하나다. 산만함과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거나 주의력이 필요한 일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ADHD를 의심할 수 있다.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유전·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뇌 발달 관련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 연구는 ADHD 아동의 뇌 부피와 구조적 차이점 등에만 집중됐다. 김 교수팀은 나이에 따른 뇌 기능의 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가 부족하다는 하는 데에 착안해 연구를 설계했다. ADHD 아동 157명과 정상 아동 109명을 만 6~7세, 8~9세, 10~12세 등 세 그룹으로 나눠 MRI를 분석했다. 동맥 속 혈액의 물 분자를 따라가면서 국소적으로 뇌 혈류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뇌 혈류를 측정했다.그 결과 ADHD 그룹은 정상 그룹보다 좌측 위쪽 측두엽과 우측 중간 전두엽 뇌 혈류량이 낮았다. 주의력, 실행 기능 등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이 영역 혈류가 줄어든다는 것은 ADHD 아동이 주의력 결핍과 실행 기능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연령별로 비교했더니 만 6~7세엔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 혈류량 차이가 없었다. 격차는 만 8~9세, 10~12세 그룹에서 벌어졌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뇌 기능의 중요한 변화는 만 7~8세 사이에 일어난다고 판단했다. 증상이 발현하거나 심화되는 게 이 시기에 뚜렷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만 8~9세엔 ADHD 아동의 뇌에서 좌측 중간 전두엽 혈류량이 떨어졌다. 이 시기에 ADHD 아동이 집중력과 실행 기능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10~12세엔 좌측 위쪽 후두엽 혈류량이 낮았다. 시각적 정보 처리나 공간 인지 능력 기능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김 교수는 "ADHD 아동의 기능적 뇌 발달이 정상 아동과 뚜렷하게 다르게 진행되는 변곡점(시점)을 추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ADHD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나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손 교수는 "ASL-MRI가 ADHD 아동의 뇌 기능 변화를 나이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줬다"며 "뇌의 구조·기능적 변화에 대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 뇌질환극복사업과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실렸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
김붕년 서울대병원 소아정신과 김붕년 교수팀(정신건강의학과 임유빈 임상강사)과 손철호 영상의학과 교수팀(의생명연구원 송희진 연구교수)은 동맥스핀라벨링 관류자기공명영상(ASL-MRI)을 활용해 ADHD와 정상 아동의 뇌 활동 발달 경로를 비교 분석해 이런 내용을 확인했다고 3일 발표했다.ADHD는 학령 전기와 학령기 아동 5~10%에게 발생하는 대표 신경 발달 장애 중 하나다. 산만함과 과다활동, 충동성을 보이거나 주의력이 필요한 일을 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면 ADHD를 의심할 수 있다.
질환의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았다. 유전·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신경생물학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뇌 발달 관련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기존 연구는 ADHD 아동의 뇌 부피와 구조적 차이점 등에만 집중됐다. 김 교수팀은 나이에 따른 뇌 기능의 동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가 부족하다는 하는 데에 착안해 연구를 설계했다. ADHD 아동 157명과 정상 아동 109명을 만 6~7세, 8~9세, 10~12세 등 세 그룹으로 나눠 MRI를 분석했다. 동맥 속 혈액의 물 분자를 따라가면서 국소적으로 뇌 혈류량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뇌 혈류를 측정했다.그 결과 ADHD 그룹은 정상 그룹보다 좌측 위쪽 측두엽과 우측 중간 전두엽 뇌 혈류량이 낮았다. 주의력, 실행 기능 등에 영향을 주는 부분이다. 이 영역 혈류가 줄어든다는 것은 ADHD 아동이 주의력 결핍과 실행 기능 장애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로도 해석된다.
연령별로 비교했더니 만 6~7세엔 ADHD 아동과 정상 아동 간 혈류량 차이가 없었다. 격차는 만 8~9세, 10~12세 그룹에서 벌어졌다. 연구팀은 이를 토대로 뇌 기능의 중요한 변화는 만 7~8세 사이에 일어난다고 판단했다. 증상이 발현하거나 심화되는 게 이 시기에 뚜렷해질 수 있다는 의미다.
만 8~9세엔 ADHD 아동의 뇌에서 좌측 중간 전두엽 혈류량이 떨어졌다. 이 시기에 ADHD 아동이 집중력과 실행 기능에 더 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이다. 10~12세엔 좌측 위쪽 후두엽 혈류량이 낮았다. 시각적 정보 처리나 공간 인지 능력 기능이 떨어졌을 가능성이 높다는 의미다.김 교수는 "ADHD 아동의 기능적 뇌 발달이 정상 아동과 뚜렷하게 다르게 진행되는 변곡점(시점)을 추측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며 "ADHD의 발달적 특성을 이해하고 나이에 따른 맞춤형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라고 했다.
손 교수는 "ASL-MRI가 ADHD 아동의 뇌 기능 변화를 나이에 따라 비침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줬다"며 "뇌의 구조·기능적 변화에 대해 추가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이오·의료기술 개발사업 뇌질환극복사업과 국립정신건강센터 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진행된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신호에 실렸다.
이지현 기자 blues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