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부위원장 "금융산업, 인구·기후·기술 변화에 선제 대응해야"

김소영 부위원장, 금융연 주최 '미래금융세미나' 기조연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인구구조와 기후 변화, 기술 혁신이라는 메가 트렌드 변화 속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선 선제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8일 김 부위원장은 한국금융연구원이 주최하고 금융위원회가 후원한 '미래금융세미나'에 참석해서 이같이 말했다.이번 세미나는 '미래의 거대 트렌드가 가져올 금융의 변화'라는 주제로 각계 전문가들이 급격한 인구구조의 변화, 기후변화, 기술 혁신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금융산업의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메가트렌드와 미래금융 프레임워크'라는 주제의 기조연설을 통해, 인구구조 변화, 기후변화, 기술 혁신이라는 메가트렌드에 대응해 금융산업과 정부는 우리 경제가 지속가능한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선제적인 대응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다가오는 미래에 맞춰 변화가 가져올 위험을 최소화하고, 중장기적 성장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체계적인 분석에 기반한 미래금융 프레임워크를 소개했다. 금융위 산하 미래금융 태스크포스(TF)는 인구, 기후, 기술의 각 주제가 금융에 미치는 영향을 위기와 기회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에 대한 정책 대응 방향을 완화, 적응, 혁신의 3가지 관점으로 나누어 미래의 금융정책 과제를 발굴·검토하고 있다.완화 정책은 미래에 다가올 변화와 충격의 크기를 줄이고, 속도를 늦추는 방향에 초점을 맞춘 정책을 의미하며, 적응 정책은 변화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정책이다. 가장 중요한 혁신 정책은 변화를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정책이다.

한편 인구구조 변화와 관련해서는 금융의 위기 요인으로 부양비 상승과 성장 둔화 가능성으로 인한 금융시장 및 산업의 침체가 나타날 수 있으며,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고령층의 노후 현금 흐름이 부족한 상황 속에서 요양·의료·연금 등 늘어나는 금융서비스 수요에 대한 금융산업의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인구구조의 변화를 기회로 삼아 금융산업이 수익모델을 다양화함과 동시에 생애주기별 상품을 확대하는 등 금융산업의 새로운 역할을 모색할 수 있다는 점도 설명했다.

이 밖에 기후변화와 관련해서는 금융의 위기 요인으로 기업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장기간 대규모의 자금이 필요하고 금융산업도 기후위기에 노출되는 점 등을 언급했다. 다만 기후 관련 금융시장이 앞으로 더욱 크게 성장하고 새로운 투자기회가 확대되는 점 등은 기회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선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및 저탄소 전환에 금융이 기여해야 하며, 올해 3월 발표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방안'을 통해 5개 정책금융기관이 30년까지 420조 원의 자금을 공급할 계획을 발표(완화 정책)한 바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끝으로 기술 혁신과 관련해, AI를 필두로 하는 핀테크 고도화, 금융·비금융 융합 가속화 등은 이미 우리의 현실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고 금융이 반드시 살려야 할 기회 요인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다만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금융시장의 불안정성이나 금융소비자의 권익 훼손 가능성 등도 감안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박찬휘기자 pch8477@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