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배터리 다 쓰면 어쩌지?…조 단위 '새 먹거리' 시장 열린다
입력
수정
한국 폐배터리 시장이 본격적으로 열릴 예정이다. 정부는 시장 인프라 구축을 위해 폐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 신차용 폐배터리를 위한 지원책 등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내 배터리 및 자동차 업계는 폐배터리 인프라 구축이 새로운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폐배터리가 사용되는 방안은 두가지다. 전기 저장 등의 성능이 신제품 대비 90%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약간의 보수 과정을 거쳐 다시 신차에 ‘재사용’될 수 있다. 신제품 대비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에는 리튬 등 각종 광물을 다시 뽑아내는 ‘재활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문에 업계가 특히 주목하는건 배터리 이력관리와 성능평가다. ‘몇년된 배터리인지’, ‘성능은 어떤 지’ 등의 정보가 있어야 활용방안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력 정보를 신청·공유할 수 있는 통합 포털 개설할 방침이다. 배터리 업계는 2020년대 후반에는 폐배터리가 연간 10만개 이상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만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기만 한다면 조 단위의 ‘먹거리’가 새로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자동차사 입장에서도 정보투명성과 관련해 긍정적인 면이 크다는 평가다. 자동차사들은 그동안 자사가 사용하는 배터리의 이력과 성능은 파악할 수 있었지만, 경쟁사가 사용하는 배터리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었다. 납품처 선택 등에 있어 더 효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소비자들에게도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는 만큼, 전기차 구매시 선택이 용이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
○폐배터리 시장 열리면 ‘조 단위’
10일 정부는 △배터리 전주기 이력관리 시스템 △폐배터리 성능평가 도입 △재생원료 인증제 △폐배터리 탑재 제품에 대한 안전 검사 의무화 △관련 정책위원회 신설 등의 정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올해안에 정책을 구체화해 국회 법안 상정까지 마치기로 했다. 현재 시장에 출시된 전기차 배터리의 수명은 평균 10년이상으로 추정된다. 2010년대 중반부터 전기차가 본격적으로 대중화되기 시작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몇년간 폐배터리가 쏟아질 것이란 의미다. 무수한 폐배터리가 쓰레기로 폐기되게 하지 않겠다는게 이번 정책의 골자다.폐배터리가 사용되는 방안은 두가지다. 전기 저장 등의 성능이 신제품 대비 90% 수준으로 유지된다면 약간의 보수 과정을 거쳐 다시 신차에 ‘재사용’될 수 있다. 신제품 대비 성능이 크게 떨어지는 경우에는 리튬 등 각종 광물을 다시 뽑아내는 ‘재활용’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 때문에 업계가 특히 주목하는건 배터리 이력관리와 성능평가다. ‘몇년된 배터리인지’, ‘성능은 어떤 지’ 등의 정보가 있어야 활용방안을 알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2027년까지 배터리 전주기 이력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력 정보를 신청·공유할 수 있는 통합 포털 개설할 방침이다. 배터리 업계는 2020년대 후반에는 폐배터리가 연간 10만개 이상 나올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 만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지기만 한다면 조 단위의 ‘먹거리’가 새로 생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배터리 관련 정보투명성 높아질 것”
폐배터리 관리 시스템이 갖춰진다면 전기차·배터리 업계 전체의 정보 투명성이 대폭 확대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각 배터리 제품 별로 ‘성능이 얼마나 유지되는지’ ‘사고가 얼마나 나는지’ 등의 정보가 모두 공개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배터리 제조사들은 자동차 회사에 배터리를 납품한 이후에는 자사 제품이 어떻게 쓰이는지, 성능은 얼마나 유지되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전혀 알 수 없었다. 앞으로는 자사 및 경쟁사 제품의 이력과 성능이 모두 공개되게 된다. 국내 배터리사 입장에선 민감한 정보이지만 중국 등 경쟁사 대비 높은 품질을 검증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한 배터리 업체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사들의 품질이 국내외로 모두 공개될 수 있다는 점을 특히 주목하고 있다”고 전했다.자동차사 입장에서도 정보투명성과 관련해 긍정적인 면이 크다는 평가다. 자동차사들은 그동안 자사가 사용하는 배터리의 이력과 성능은 파악할 수 있었지만, 경쟁사가 사용하는 배터리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었다. 납품처 선택 등에 있어 더 효율적인 결정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소비자들에게도 정보가 투명하게 공개되는 만큼, 전기차 구매시 선택이 용이해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성상훈 기자 up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