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쁜 출근길, 전장연이 지하철을 멈춰 세우는 이유 [서평]
입력
수정
전장연 지하철 시위 기록1분 1초가 아쉬운 바쁜 출근길, 지하철을 멈춰 세워 빈축을 사는 이들이 있다. 2021년부터 4년째 지하철 시위를 이어가고 있는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다. 서울교통공사는 전장연 간부 등에 대해 교통방해죄 등 혐의로 다섯 차례 형사 고소하기도 했다. 이들은 왜 다른 시민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처벌을 감수하면서까지 지하철을 멈춰 세우고 있을까.
"장애인 위한 지하철은
시민 모두를 위한 지하철"
박경석 전장연 대표와 정창조 노들장애학궁리소 연구활동가의 대화로 쓰여진 책 <출근길 지하철>은 이 같은 물음에 대한 답이다. 저자들은 "출근길 발길을 재촉하거나 시위로 정차하지 않고 지나가는 지하철에 탄 시민들에게 닿지 않는 우리의 사정을 온전히 말하고 전하기 위해 책을 썼다"고 밝혔다. 이들은 세상에 절실함을 알리기 위해 시위 장소로 출근길 지하철을 택할 수밖에 없었다고 주장한다. 청와대나 국회 앞 시위를 비롯해 머리를 밀거나 며칠을 굶으면서 투쟁도 해봤지만 들어주는 이들이 없었다. 출근길 시위를 시작하고 나서야 언론에 기사가 나오기 시작하는 등 전장연의 주장이 공론장에 나오게 됐다는 설명이다.
"시민들을 볼모로 삼는다" "시민들 발목을 잡는다"는 비난에 박 대표는 이렇게 답한다.
"저도 알아요. 시간에 맞춰서 출근하고 학교 가고 하는 거, 그런 일상들이 사람들에게는 정말로 다 중요할 거예요. 그런데 어떤 장애인들은요, 말 그대로 이동을 할 수가 없어서 학교에 가지 못해왔어요. 교육을 받지 못했으니까 노동도 할 수가 없지. 출근길 지하철이 1분만 지연돼도 그게 그렇게 문제라면서요. 일상 전체가 1분 늦어지는 거니까. 그런데 장애인들은 1분이 뭐야, 한평생 그 일상을 누릴 수가 없어요." (31~32쪽)전장연은 장애인에게 편한 대중교통은 우리 모두에게 편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장애인 이동권 투쟁을 통해 설치된 지하철 역사 내 엘리베이터와 저상버스의 혜택은 장애인뿐 아니라 노인, 유모차를 끄는 부모 등 다양한 시민에게 돌아간다. 소수자를 위한 안전망을 구축하는 건 사회 전체의 안전과 포용을 강화하는 노력이란 설명이다.
이들의 투쟁은 과거 미국에서 장애인 이동권 시위를 위해 뉴욕 한복판 매디슨 애비뉴를 막았던 주디 휴먼을 떠올리게 한다. 휴먼은 이렇게 말했다. "장애는 사회가 장애인들이 살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데 실패할 때만 비극이 된다." 몇십년 간 이어진 투쟁의 결과 오늘날 미국에선 버스가 천천히 주저앉아 휠체어를 태우고 버스 기사가 휠체어에 안전벨트를 채우느라 시간을 쓰는 게 익숙한 일이 됐다.
책 속엔 이동권뿐 아니라 탈시설, 노동권 등 장애인 인권과 관련한 다양한 이슈와 이를 쟁취하기 위한 투쟁의 과정이 기록돼 있다. 다만 주장과 그를 뒷받침하는 근거가 상당히 거칠고 날 것의 형태로 서술돼 있어 일각에서 반론을 제기할 여지도 많다. 이들의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더라도 한번쯤 토론의 계기로 삼기 위해 읽어봐도 괜찮겠다.
신연수 기자 sy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