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트코, 7년 만에 연회비 인상…장 마감 후 4% 강세
입력
수정
미국 창고형 할인점 코스트코가 장 마감 후 강세를 나타냈다. 가입비를 7년 만에 인상한다는 소식에 실적 기대감이 높아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10일(현지시간) 코스트코는 뉴욕 증시에서 장 마감 후 애프터마켓에서 4.71% 급등해 최고 926달러대까지 치솟았다. 정규장에선 0.29% 하락한 884.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코스트코는 오는 9월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멤버십 연회비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반 회원은 기존 60달러에서 65달러, 이그제큐티브(프리미엄) 회원은 종전 120달러에서 130달러로 높아진다. 코스트코의 가입비 인상은 2017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코스트코는 그간 5~6년마다 멤버십 요금을 올려왔다. 당초 2022년 말 또는 지난해 초에 가입비를 인상했어야 했지만, 이를 보류해 왔다. 당시 크레이그 젤리넥 최고경영자(CEO)는 "고물가가 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현시점은 수수료를 인상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가입비 인상은 5200만명 규모의 회원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코스트코는 인상 적용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프리미엄 회원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가입비 인상으로 코스트코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코스트코는 상품 가격을 낮추는 대신 가입비를 통해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서다. 코스트코는 지난 3분기 회계연도(2월 19일~5월 12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585억달러를 기록했다. 주당순이익(EPS)은 3.78달러로 같은 기간 29% 늘었다. 매출과 이익은 시장 기대치에 대부분 부합했다.
올해 들어 코스트코의 주가는 35% 뛰었다. 고물가에 코로나19 이후 매장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 2일 미국 투자은행 스티펠은 코스트코의 목표주가를 기존 850달러에서 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타이그레스 파이낸셜 역시 지난달 목표가를 월가 최고 수준인 975달러로 제시했다. 기존보다 9.1% 높인 것이다. 글로벌 사업 확장으로 실적 기대감이 높고, 강도 높은 주주환원 정책 등이 목표가에 반영됐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
10일(현지시간) 코스트코는 뉴욕 증시에서 장 마감 후 애프터마켓에서 4.71% 급등해 최고 926달러대까지 치솟았다. 정규장에선 0.29% 하락한 884.31달러에 거래를 마쳤다.이날 코스트코는 오는 9월부터 미국과 캐나다에서 멤버십 연회비를 인상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일반 회원은 기존 60달러에서 65달러, 이그제큐티브(프리미엄) 회원은 종전 120달러에서 130달러로 높아진다. 코스트코의 가입비 인상은 2017년 6월 이후 처음이다. 코스트코는 그간 5~6년마다 멤버십 요금을 올려왔다. 당초 2022년 말 또는 지난해 초에 가입비를 인상했어야 했지만, 이를 보류해 왔다. 당시 크레이그 젤리넥 최고경영자(CEO)는 "고물가가 가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현시점은 수수료를 인상할 시기가 아니다"라고 언급한 바 있다.
가입비 인상은 5200만명 규모의 회원에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코스트코는 인상 적용 대상자의 절반 이상이 프리미엄 회원으로 파악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가입비 인상으로 코스트코의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 코스트코는 상품 가격을 낮추는 대신 가입비를 통해 수익을 내는 방식으로 사업을 전개하고 있어서다. 코스트코는 지난 3분기 회계연도(2월 19일~5월 12일)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한 585억달러를 기록했다. 주당순이익(EPS)은 3.78달러로 같은 기간 29% 늘었다. 매출과 이익은 시장 기대치에 대부분 부합했다.
올해 들어 코스트코의 주가는 35% 뛰었다. 고물가에 코로나19 이후 매장을 찾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주가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전문가들은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 2일 미국 투자은행 스티펠은 코스트코의 목표주가를 기존 850달러에서 90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타이그레스 파이낸셜 역시 지난달 목표가를 월가 최고 수준인 975달러로 제시했다. 기존보다 9.1% 높인 것이다. 글로벌 사업 확장으로 실적 기대감이 높고, 강도 높은 주주환원 정책 등이 목표가에 반영됐다.
조아라 기자 rrang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