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통일돼도 경제효과 불투명"
입력
수정
지면A4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남북이 통일돼 북한 인력이 국내에 들어오더라도 한국의 노동력 부족 문제가 해소될지는 미지수라고 지적했다.
OECD는 11일 공개한 ‘2024 한국경제보고서’에서 “북한의 출산율 하락 추세 등을 고려할 때 통일 후 북한 인력이 유입되더라도 노동력 부족 문제가 완화될 수 있을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OECD는 매년 한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북한 경제를 지목해왔다.통일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불투명하다는 것이 OECD 진단이다. OECD는 “북한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재정 지출로 한국 경제 및 재정의 지속 가능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독일의 통일 사례를 보면 서독은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동독 인프라 투자 등에 국내총생산(GDP)의 4.5%를 투입했다.
OECD는 “과거 사례를 보면 북한이 무력 도발했을 때 한국 시장의 주가는 단기 변동 후 회복했다”며 “북한 무력 도발 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남북 경제 격차는 대폭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코로나19 당시 강력한 봉쇄 조치에 나서면서 2020년부터 3년간 경제가 역성장했기 때문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
OECD는 11일 공개한 ‘2024 한국경제보고서’에서 “북한의 출산율 하락 추세 등을 고려할 때 통일 후 북한 인력이 유입되더라도 노동력 부족 문제가 완화될 수 있을지 불분명하다”고 밝혔다. OECD는 매년 한국 경제의 리스크 요인으로 북한 경제를 지목해왔다.통일에 따른 경제적 효과도 불투명하다는 것이 OECD 진단이다. OECD는 “북한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재정 지출로 한국 경제 및 재정의 지속 가능성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경고했다. 독일의 통일 사례를 보면 서독은 1991년부터 1999년까지 동독 인프라 투자 등에 국내총생산(GDP)의 4.5%를 투입했다.
OECD는 “과거 사례를 보면 북한이 무력 도발했을 때 한국 시장의 주가는 단기 변동 후 회복했다”며 “북한 무력 도발 등에 따른 리스크 요인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최근 남북 경제 격차는 대폭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이 코로나19 당시 강력한 봉쇄 조치에 나서면서 2020년부터 3년간 경제가 역성장했기 때문이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