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년 이후 판·검사 사라질지도"…충격 보고서 나왔다
입력
수정
KDI 'AI로 인한 노동시장 변화' 보고서2030년 이후에는 대학교수, 판·검사, 변호사 등의 전문직 업무도 인공지능(AI) 기술에 의해 대체될 위험이 크다는 전망이 나왔다. AI로부터 안전한 일자리는 더 이상 없다는 분석이다.
"일자리 대부분 자동화 위험에 노출"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의 한요셉 연구위원은 15일 'AI로 인한 노동시장의 변화와 정책 방향'에 대한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르면 2030년에는 업무의 90%를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전체 일자리의 9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해 기준 70% 이상의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는 일자리가 39%에 달했는데 AI 발전으로 대체할 수 있는 고위험 일자리가 급속도로 늘어날 것이란 뜻이다.직업별로 보면 전체 업무를 AI로 자동화할 수 있는 직업은 2030년 기준 주방장 및 요리 연구가(100%), 세탁원(100%), 재봉사(100%), 각종 기계 조작원(100%) 등으로 조사됐다. 국회의원(64%), 고위공무원(64%), 대학교수(64%), 판·검사(69%), 변호사(74%) 등은 자동화 가능 업무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지만 모두 50%를 넘었다.한 연구위원은 "2030년 이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생각되던 직업군을 포함한 대부분의 일자리가 매우 높은 자동화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며 "임금이 낮을수록 자동화 가능성이 높고 월 900만원 이상의 고소득 직종에서는 다시 자동화 가능성이 소폭 증가하는 패턴이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AI 도입은 청년층 고용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연구위원에 따르면 AI 영향률이 10% 상승할 경우 지역 내 남성 청년의 임금 근로는 3.3%포인트 감소했다. 여성 청년의 임금 근로는 5.3%포인트 하락해 AI 도입에 따른 충격이 남성보다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한 연구위원은 "청년들이 기술 이해도가 높아 채용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실증분석 결과 AI 영향률 확대는 유독 청년층 고용을 축소하는 방향으로 이어졌다"고 말했다.이 같은 현상은 경직된 노동시장 때문이라는 게 한 연구위원의 지적이다. 기존 인력을 쉽게 내보낼 수 없는 기업 입장에선 AI 도입 후 신규 채용을 줄일 확률이 높다는 것이다. 한 연구위원은 "국내 기업들은 재직자에 대해선 조직 내 재배치나 업무 변화로 대응하는 한편 신규 채용을 축소해 인력을 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이어 "지금도 청년들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많지 않다"며 "대기업을 중심으로 AI 도입이 가속화돼 청년층이 얻을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감소한다면 청년 실업과 이와 연결된 만혼·저출산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AI 등장으로 인한 청년 고용 위축을 완화하기 위해선 교육의 유연성이 중요하다고 한 연구위원은 강조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전공 간 칸막이가 심해 입학한 과 그대로 대학을 졸업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이런 구조 아래에선 AI 등 기술 변화에 대한 제대로 대응할 수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에서 전공을 바꿀 수 있게 길을 터주는 게 중요하다"며 "전공별 쏠림 현상이 심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적어도 청년의 진로 선택 관점에선 유연성이 필요하다"고 했다.
허세민 기자 semi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