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 2~3년 내 적수 없다"…'AI 전략' 입 연 최태원

'AI 전략' 입 연 최태원

대한상의 제주포럼 토크쇼 진행
최태원 회장, 최수연 대표 대담
최태원 "네이버가 돈 잘 벌어야"
최수연 "서비스 유용성이 관건"
정송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 김재철AI대학원장(왼쪽부터), 최수연 네이버 대표,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9일 오전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주포럼 토크쇼에 참석해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네이버 제공
"아주 짧은 미래, 2~3년 안에 엔비디아가 부서지진 않을 거라고 생각한다. (중략) 그러면 2~3년 후에는 무너질 수 있느냐. 가능성이 몇 가지가 있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은 19일 오전 대한상의가 개최한 제주포럼 토크쇼에서 엔비디아의 아성을 꺾을 기업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 같이 답했다. 최 회장이 주목한 지점은 거대언어모델(LLM) 등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한 이후다. 개발을 마치고도 이를 '수익성 있는 사업 모델'로 이어갈 수 있어야 한다는 것.

최태원 "돈 버는 AI 나오면 비싼 칩 계속 쓸 것"

최 회장은 "AI를 갖고 돈을 버는 모델이 뭐냐, 이게 아직 정확히 나오지는 않았다"며 "현재로선 거대언어모델이라는 것을 어떻게 트레이닝 시켜서 내 모델이 남의 것보다 더 좋게 만드느냐가 경쟁 상황이지, 나중에 돈은 자연스럽게 벌 것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다"고 말했다.

이어 "2~3년 돈을 쏟아부어 LLM을 어느 정도 레벨까지 만들었는데 과연 그것이 돈을 벌 만큼의 레벨로 진화·발전하거나 그런 유스케이스(Use Case), 즉 기업이든 개인이든 지불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앱)이 만들어져야 된다. 그게 잘 안 된다면 그때부턴 지금의 엔비디아 세상이 아니라 다른 종류의 칩이나 형태들이 필요하기 때문에 현재 엔비디아가 가진 장점이 무너질 공산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도 "돈을 버는 (AI) 모델이 잘 나온다고 생각하면 칩의 성능을 좋게 만드는 쪽으로 계속 쓰는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비싼 칩이라도 계속 쓰게 될 것"이라면서 "그러면 엔비디아가 계속해서 승승장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19일 오전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주포럼 토크쇼에 참석해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유튜브 영상 갈무리
최 회장이 꼽은 주요 변수는 '칩의 성능'이다. AI 가속기를 얼마나 빨리 발전시키느냐가 관건이란 얘기다. 최 회장은 엔비디아 발표를 인용해 이 기업의 AI 가속기가 현재 3조2000억개에 이르는 파라미터(매개변수)를 다룰 수 있다고 전했다. 여기서 범용 인공지능(AGI)으로 나아가려면 10조개의 파라미터를 다룰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최 회장은 SK그룹을 "금광을 캘 때 필요한 곡괭이를 지원하는 회사"로 규정했다. AI라는 금을 캐는 과정에서 필요한 도구, 예컨대 AI 데이터센터와 그에 덧붙여서 지원하는 에너지 솔루션을 뒷받침하는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라는 설명이다.

최수연 대표가 함께 자리한 네이버를 언급하며 "저희는 네이버가 돈을 벌어야 된다. (네이버가) 금을 캐야 저희가 계속 곡괭이를 팔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그는 "효율적인 작은 (AI) 모델을 쓸 것이냐, 거대모델에다 승부를 걸 것이냐는 현재 인류가 부딪힌 숙제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태원의 4가지 AI 시나리오…"모든 전략 갖춰야"

AI 사업의 지속가능성과도 연결되는 대목이다. 최 회장은 현 추세대로라면 4년 뒤인 2028년 AI데이터센터에 필요한 전력량이 현재보다 8배 더 필요하다고 봤다. 아울러 현재 데이터센터가 뿜어내는 탄소배출량이 항공산업 전체에서 발생하는 양보다 1.5배 더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 문제를 극복하려면 전력 사용량에서부터 필요한 고성능 칩을 계속 만들어내서 전기 사용도 줄여야 되고 AI 데이터센터가 소화하는 속도를 더 빠르게 만들어야 한다"며 "이 조건들이 안 맞는다면 시나리오 몇 개를 생각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최 회장이 언급한 시나리오는 △모든 기업이 이상적인 AGI 모델을 구현한 상황 △AI 개발에 필요한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지 못한 상황 △LLM을 구축하는 데 실패한 상황 △온디바이스 AI 모델로 나아가게 될 상황 등이다. 그는 "네 가지 시나리오에서 다 살아남는 전략을 갖춰야 된다"고 당부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오른쪽)가 19일 오전 제주 신라호텔에서 열린 제주포럼 토크쇼에 참석해 대담을 나누고 있다. 사진=네이버 제공

최수연 '서비스 유용성·소버린 AI' 강조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같은 자리에서 사용자에게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AI 사업 모델을 강조했다.

최 대표는 "모바일이, 인터넷이 어떻게 우리를 바꿨지를 생각하면 그것들이 어떤 유용성을 사람들에게 줬는지 결국 서비스적인 면에서 결정이 된다고 생각한다"며 "AI가 정말 내 생활을 많이 바꿀 수 있구나, 그런 유용성을 만드는 것에서 성패가 갈리지 않을까 싶다"고 예상했다.

네이버는 이미 자사 검색포털을 통해 사용자들에게 개인화된 검색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사용자마다 같은 검색어를 입력해도 각기 다른 결과를 받아보는 것이다. 최 대표는 "검색, 날씨, 증권, 뉴스 서비스들이 지금도 알게 모르게 AI 기술이 많이 접목되어 있다"며 "네이버가 각각 모두의 개인 비서 역할을 할 수 있는 그런 기술을 접목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특히 '소버린 AI'를 미래 사업 방향으로 강조하고 나섰다. 국가나 기업마다 자체 데이터를 토대로 독립적 AI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이 소버린 AI다.

최 대표는 "세상엔 질문에 정답이 있는 경우가 거의 없다. 지금 (제주도) 중문 근처에 맛집을 검색하더라도 모두에게 다 정답이 다를 것"이라며 "그렇게 보면 중요한 역사적 맥락과 문화적 맥락을 제대로 이해하는 국가마다 필요한 소버린 AI가 필요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있었다. 네이버는 그런 관점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국가와 기관들에 저희가 가진 기술력을 제공하고 (인프라를) 구축하는 일들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AI 시대에 다양성을 더할 수 있는 역할을 네이버가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최 대표는 이날 토크쇼에서 '많이 쓰는 AI 모델'을 묻는 말에 자사 AI 서비스로 저녁 자리에서 쓸 건배사를 생성해낸다고 말해 웃음을 자아내기도 했다. 최 회장은 SK텔레콤의 AI 개인비서 '에이닷'을 주로 사용한다고 답했다. 대한상의가 개최한 이번 제주포럼엔 전국상의 회장단을 비롯해 주요 기업 경영진 등 전국 대·중소기업 600여명이 참석했다.

김대영 한경닷컴 기자 kd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