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고 일어나니 '대박이 쪽박 됐다'…개미들 "좋다 말았네" [종목+]
입력
수정
3700억원 손배소 당한 F&F
개인투자자 반응 "악재가 호재를 덮었다"
사측 "우려될 사안 아냐…적극 대응 방침"
F&F 네이버 종목토론방의 한 투자자가 올린 글이다. 라이선스 브랜드인 'MLB'와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등으로 잘 알려진 패션 기업 F&F가 하루 차이로 호재와 악재 성격의 공시를 내면서 투자자들도 온탕과 냉탕을 오갔다. 이달 17일 급등한 주가가 바로 방향을 틀어 이틀 연속 급락했지만 사측은 "주가를 끌어내릴 만한 악재가 아니다"고 강조했다.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F&F는 전날보다 5600원(8.05%) 하락한 6만4000원에 장을 끝냈다.
주가는 전날 5.95% 내린 데 이어서 이날도 급락세를 이어갔다. 전날에는 지난 17일 급등분에 대한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면서 내렸다면 이날 하락에는 악재 공시가 영향을 미쳤다.
앞서 전날 장 마감 이후 F&F는 영국에서 협력업체로부터 3700억원 규모의 소송을 당했다고 알렸다.공시에 따르면 '세르지오 타키니' 라이선스 계약을 맺고 의류를 생산·판매하는 '모빈 살'이 F&F와 자회사 세르지오 타키니 오퍼레이션스(STO), 세르지오 타키니 유럽(STE) 등 8곳을 상대로 영국에서 3700억원을 웃도는 금액의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했다. 세르지오 타키니는 F&F가 운영하고 있는 프리미엄 스포츠 브랜드다.
F&F는 이번 소송을 두고 "모빈 살이 가이드라인과 품질 절차를 지키지 않아 올해 가을·겨울 시즌 일부 제품에 대한 라이선스 홀로그램 발급을 받지 못했다"며 "미승인 제품 판매가 어려워졌고, 자체 판매 시 라이선스 계약이 해지될 것을 우려해 소송을 제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소송 금액 3700억원은 F&F 자기자본의 28.13%에 해당한다. 이 금액이 산정된 배경에 대해 F&F는 "모빈 살이 작년 연간 영업이익의 40년치를 청구한 것"이라고 공시했다. 이어 "한 시즌 판매분이 승인되지 않아 발생할 손해에 대해 과장된 금액을 청구한 것으로 보인다"고 부연했다.개인 투자자들로선 '날벼락' 같은 소식이다. 호재성 공시로 주가가 급등한 지 하루 만에 악재 공시가 이를 덮었기 때문이다.
지난 17일 F&F는 공시를 통해 국내에서 운영 중인 디스커버리 익스페디션 브랜드를 중국과 동남아시아로 진출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회사가 라이선스를 따낸 국가는 중국과 일본, 대만, 홍콩, 마카오, 태국, 베트남, 싱가포르, 필리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11개국이다. 계약금액은 약 524억원으로 계약기간은 2039년 말까지다. 이후 추가 15년 연장에 대한 우선협상권도 확보했다. 전 세계적 인기를 얻은 'MLB' 브랜드에 이어서 '디스커버리' 브랜드도 본격 해외 진출을 예고한 것이다. 이날 F&F 주가는 26% 가까이 폭등했다.
F&F 측은 모빈 살의 손배소에 대해 "주주들이 걱정할 만한 일이 아니"라고 선을 긋고 나섰다. 영국은 소송비용이 소송금액과 비례하지 않아서 과대 청구가 손쉬운 상황이란 게 회사 측 입장이다. 오히려 사측은 이번 소송으로 자사 브랜드의 신뢰가 떨어진 점을 들어, 상대 측에 반대소송을 제기해 손해배상을 청구하겠단 계획이다.
F&F 관계자는 "디스커버리의 해외 진출은 회사의 오랜 염원이었고 큰 호재였는데, 과대 청구 건으로 분위기가 반전돼 당황스럽다"며 "청구된 금액 경우에도 문제가 된 기간은 6개월인데 40년치 영업이익을 청구하는 건 말도 안 되지 않느냐"라고 반문했다. 이어 "타이밍이 애석하긴 하지만 상대방의 승산은 거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다"며 "적극 대응하기 위해 방안을 고심 중"이라고 덧붙였다.
신민경 한경닷컴 기자 radi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