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서울대 '바이러스의 우월함' 규명
입력
수정
지면A13
바이러스는 세포를 숙주로 삼지 않을 때는 무생물과 다름없다. 생명체인 세균과는 다르다. 세균을 잡아먹는 ‘세균바이러스’도 있다.
강창원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세균의 리보핵산(RNA) 합성 방식 두 가지 중 하나가 바이러스에 없다는 것을 처음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DNA의 복사본인 RNA를 합성하는 효소를 RNA중합효소라고 한다. DNA 정보를 RNA로 옮겨 적는 첫 단계를 수행하는 효소다. 코로나19 백신 등 RNA 기반 백신을 만들 때도 이 중합효소를 쓴다.연구팀은 세균은 DNA 정보를 옮겨 적는 것을 마무리(RNA 합성 종료)할 때 중합효소와 RNA가 따로 떨어져 나가지만, 바이러스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처음 밝혀냈다. 바이러스는 RNA만 분리되고 중합효소는 그대로 DNA에 보존된다는 설명이다. 단일분자 분석법으로 낸 연구 성과로 RNA 의약품, 진단시약 등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뉴클레익애시드리서치에 실렸다. 강 교수와 홍 교수는 교신저자로, 제1저자로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재직 중인 송은호 박사후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
강창원 KAIST 생명과학과 교수와 홍성철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공동 연구팀은 세균의 리보핵산(RNA) 합성 방식 두 가지 중 하나가 바이러스에 없다는 것을 처음 발견했다고 21일 밝혔다. DNA의 복사본인 RNA를 합성하는 효소를 RNA중합효소라고 한다. DNA 정보를 RNA로 옮겨 적는 첫 단계를 수행하는 효소다. 코로나19 백신 등 RNA 기반 백신을 만들 때도 이 중합효소를 쓴다.연구팀은 세균은 DNA 정보를 옮겨 적는 것을 마무리(RNA 합성 종료)할 때 중합효소와 RNA가 따로 떨어져 나가지만, 바이러스는 그렇지 않다는 점을 처음 밝혀냈다. 바이러스는 RNA만 분리되고 중합효소는 그대로 DNA에 보존된다는 설명이다. 단일분자 분석법으로 낸 연구 성과로 RNA 의약품, 진단시약 등 개발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관련 논문은 국제학술지 뉴클레익애시드리서치에 실렸다. 강 교수와 홍 교수는 교신저자로, 제1저자로는 미국 국립보건원(NIH)에 재직 중인 송은호 박사후연구원 등이 참여했다.
이해성 기자 ih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