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 신용등급 11년 만에 상향

무디스, B3→B1로 두 단계 높여
에르도안 긴축으로 유턴 통한 듯
튀르키예의 국가 신용등급이 11년 만에 올랐다. 통화정책 경로를 빠르게 수정하는 등 거시경제 안정화를 위한 정부의 노력이 인정받은 결과다.

20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전날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튀르키예의 국가 신용등급을 기존 B3에서 B1로 두 단계 상향 조정했다. 등급 전망도 긍정적으로 유지해 추가적인 상향 조정 가능성까지 내비쳤다. 이번 무디스의 상향 조정은 2013년 5월 튀르키예의 국가 신용등급을 Ba1에서 Baa3으로 높인 이후 11년 만에 이뤄졌다.

무디스는 “확고하고 잘 정립된 정통 통화정책으로 복귀하는 등 거버넌스(지배구조)가 개선된 것이 주요 배경”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주요 거시경제 지표 간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도 성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간 무디스는 튀르키예의 채무불이행(디폴트) 위험을 끊임없이 지적하며 과거 Baa3이던 국가 신용등급을 B3까지 끌어내렸다. 이번에 상향 조정된 B1도 투자적격 등급보단 네 단계 낮은 수준이다. 요르단, 방글라데시와 동일한 국가 신용등급이다. 하지만 블룸버그는 “튀르키예 정부의 긴축정책 등이 인정받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튀르키예 정부는 리라화 가치가 급락하고 물가가 고공 행진을 이어가는데도 기준금리를 오히려 낮추고 최저임금을 인상해 인플레이션을 부추겼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2022년 튀르키예 물가 상승률은 80%를 웃돌았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지난해 5월 재선에 성공한 뒤 연 8.5%이던 기준금리를 올해 3월 연 50%까지 인상하는 ‘정책 유턴’을 단행했다. 이 덕분에 지난달 튀르키예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1.6% 오르며 8개월 만에 처음으로 둔화세를 보였다. 무디스는 리라화 가치 상승 등에 힘입어 오는 12월엔 물가 상승률이 45% 아래로 떨어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튀르키예는 1년 전 대지진을 겪은 후 경제활동 정상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해 2월 세계은행은 튀르키예의 대지진 피해액이 342억달러를 넘을 것이라고 추산했다. 2021년 기준 국내총생산(GDP)의 약 4%다. 2차 피해액을 합산하면 총피해 규모는 GDP의 10%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이 같은 대규모 재해를 겪고 나서도 경제가 빠르게 회복하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한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에 따르면 지진 발생 후 3개월 만인 작년 5월 제지산업을 제외한 모든 산업 분야의 성장률이 지진 이전으로 돌아왔다.

임다연 기자 all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