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믿고 공장 지었는데…"트럼프 당선되면 어쩌나" 초비상
입력
수정
현대차, 상반기 45% 상승·하반기 들어 12% 하락
차익실현 이후 美 대선 이슈가 불확실성 키워
트럼프 전 대통령 피격 이후 승기 잡아
“수입차 관세 부과 부정적이나…친환경차 지원 원래 적었다”
![2022년 10월26일 현대차 조지아 공장 기공식에서 정의선 회장(가운데)을 비롯한 내외빈이 첫 삽을 뜨고 있다. /사진=현대차](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01.31635577.1.jpg)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현대차와 기아차 주가는 이달 들어 각각 12.37%, 10.05% 빠졌다.올해 상반기 동안 현대차가 44.96%, 기아가 29.3% 상승했으나 하반기 들어 후진하는 모양새다. 상반기에는 미국 수출 호조에 따른 호실적 기대감, 정부의 밸류업(기업가치 제고) 프로그램에 따른 기업가치 상승 기대감 등이 주가를 밀어 올렸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서 기관이 자동차주 차익실현 물량을 쏟아내며 하락을 주도했다. 지난 19일까지 기관은 현대차를 3454억원어치, 기아를 1472억원어치 순매도했다. 외국인의 순매도금액은 각각 681억원과 643억원으로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았다.
기관의 매도세는 지난주까지 3주째 계속됐다. 이달 들어 기관이 현대차를 순매수한 날은 지난 5일과 16일 2거래일뿐이었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2407/AD.37414415.1.jpg)
서상영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베팅 사이트에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평균 66.2%에서 현재 59%로 낮아졌지만, 해리스 부통령의 당선 가능성은 22.3%로, 여전히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그동안 업계 안팎에서 우려한 친환경차 지원 축소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에 무게가 실린다. 김귀연 대신증권 연구원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 따른 보조금을 비롯한 기존 혜택이 현대차와 기아에는 제한적이었다”며 “(친환경차 지원 축소의) 실질적인 영향은 중립적”이라고 말했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에 짓고 있는 전기차 공장은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으로 돌릴 가능성이 점쳐진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하면 장기적으로는 유가가 높아질 수 있기에 하이브리드 차량 수요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임은영 삼성증권 연구원은 전망했다.현지에 공장이 있다는 자체가 긍정적일 수 있다는 분석도 눈길을 끈다. 송선재 연구원은 “전기차 보조금 축소와 성장률 둔화는 현대차가 건설 중인 전기차 공장의 효용성을 일시적으로 후퇴시킬 것”이라면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친환경차 지원을)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n)’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현대차는) 현지 생산 비중의 확대로 (친환경차 지원 축소를) 만회할 수 있다”고 진단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