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부·팔에 지방 많은 사람은…" 놀라운 연구 결과 나왔다 [건강!톡]
입력
수정
"복부·팔에 지방 많으면
알츠하이머·파킨슨병 위험 높다"
중국 쓰촨대 쑹환 교수팀은 25일 미국신경학회 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서 영국 바이오뱅크(UK Biobank) 등록자 41만2천여 명의 체성분 패턴과 신경 퇴행성 질환 위험 간 관계를 평균 9년간 추적한 끝에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영국 바이오의학 데이터베이스인 영국바이오뱅크(UK Biobank) 등록자 41만2천691명(평균 연령 56세)을 대상으로 허리·엉덩이 둘레, 악력, 골밀도, 체지방, 제지방(체중에서 지방을 뺀 값) 등과 신경 퇴행성 질환 발병 위험 간 관계를 평균 9.1년간 추적 관찰했다.
발병 질환은 알츠하이머병 2천993건, 파킨슨병 2천427건이었고, 모든 원인에 의한 치매 6천76건이 포함됐다.복부 지방 수치가 높은 남성과 여성은 신경 퇴행성 질환 발병률은 1천 인년당(1인년은 한 사람을 1년간 관찰한 값) 각각 3.38건과 2.55건으로 복부 지방 수치가 낮은 남성(1.82건)과 여성(1.39건)보다 훨씬 높았다.
고혈압, 흡연·음주, 당뇨병 등 질병 발생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들을 조정한 후 발병 위험을 분석한 결과, 복부 지방 수치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발병 확률이 13% 높았고, 팔 부위의 지방 수치가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발병 확률이 1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력이 높은 사람은 낮은 사람보다 발병 확률이 26%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신경 퇴행성 질환 발병 위험을 높이는 요소는 신체 부위별 높은 지방 수치가, 발병 위험을 낮추는 요소는 근력이 꼽혔다.
쑹 교수는 "알츠하이머병과 파킨슨병 같은 신경 퇴행성 질환은 세계적으로 6천만 명 이상에게 영향을 미치고 인구 고령화에 따라 그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예방 도구 개발을 위해 발병 위험 요소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파킨슨병의 대표 증상으로는 동작이 느리고 굼떠지고, 손·발 떨림이 있으며, 몸이 뻣뻣해지는 것이다. 이 밖에도 수행·집행·추상 능력 등 인지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 저하 증상부터 나타난다. 환자마다 주기의 차이는 있지만 정상 상태와 비정상 상태가 반복된다.
파킨슨병 유병 기간이 길고 연령이 높을수록 파킨슨병 동반 치매가 발병할 확률도 높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