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로 돌아선 엔화…엔고 베팅한 투자자 '겨울' 끝났을까 [한상춘의 국제경제 읽기]

최근 엔화값 회복했지만
차익 실현…일시적 현상
엔저 지속될 가능성

이번주 일본은행 회의
기시다 총리 등 정치권
금리 인상 압박하지만
부진한 경제 '찬물' 우려
우에다 총재 딜레마
31일 일본은행(BOJ) 회의를 앞두고 엔화 가치가 강세로 돌아서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급부상하고 있다. 2주 전 38년 만에 최고치인 달러당 161엔을 돌파한 엔·달러 환율은 153엔 내외 수준으로 급락했다. 같은 기간 850원대까지 떨어진 원·엔 환율도 900원을 넘어섰다. 엔화 가치가 추세적으로 강세로 돌아서면 엔화 투자자에게는 반가운 일이다.

특정국의 통화 가치는 머큐리(mecury·펀더멘털) 요인과 마스(mars·정책)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 하지만 엔화 가치는 금리차와 환차익을 노리는 캐리 트레이드 자금 여건도 고려해야 한다. 저금리와 엔저를 바탕으로 경기 회복을 모색하는 아베노믹스가 10년간 추진되는 동안 엔 캐리 트레이드가 엔화 가치 하락의 결정적 요인으로 자리 잡았기 때문이다.
작년 11월 초 엔·달러 환율의 마지노선으로 여겨졌던 150엔 선이 뚫린 이후 일본 정부가 엔화 가치를 강세로 돌려놓기 위해 환율시장에 개입했지만 거듭 실패했다. 재무성이 주도해 달러 매도에 나섰지만 엔 캐리 트레이드 환경을 바꾸지 못했다. 일본의 외환시장 개입 역사상 최대 규모 외화만 낭비했을 뿐이다.

가뜩이나 ‘아오키 법칙’(내각과 집권당 지지도가 50% 밑으로 떨어지는 현상)에 걸려 있는 여건에서 시장 개입에 실패했다는 비판까지 거세지자 기시다 후미오 총리와 모테기 도시미쓰 자민당 간사장은 서둘러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에게 금리를 올리라고 압박하고 있다. 캐리 자금 여건상 엔저를 막기 위한 조치로 일리가 있는 주장이다.하지만 종전과는 180도 바뀐 태도라 이번 기회를 통해 아베 신조 전 총리의 영향권에서 벗어나려는 수순이 아니냐는 정치적 해석도 만만치 않다. 특히 차기 총리로 거론되는 모테기 간사장이 금리 인상을 더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어 이러다간 BOJ가 정치적 시녀로 전락하는 것 아닌가 하는 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우에다 총재의 고민은 깊어지고 있다. 과연 기시다 총리와 모테기 간사장의 금리 인상 압박을 받아들일 것인가가 관건이다. 올 들어 일본 경제는 마이너스 국면으로 돌아섰다. 1분기 성장률이 -0.5%였다. 그나마 수출과 한국인 관광 수입이 일본 경제를 지탱하고 있는 상황에서 엔화 가치마저 강세로 돌아서면 더 깊은 나락으로 추락할 확률이 높다.

7월 BOJ 회의에서 우에다 총재의 선택은 두 가지다. 하나는 정치 압력에 굴복해 자신의 임기를 보장받는 것이다. 하지만 BOJ의 독립성은 훼손된다. 다른 하나는 금리 인상을 거부하는 것이다. BOJ의 독립성은 유지하겠지만 자신은 조기에 교체당할 수 있다. 주목해야 할 것은 우에다 총재는 같은 운명에 처한 제롬 파월 미국 중앙은행(Fed) 의장보다 정치적 성향이 높다는 점이다.대외적으로는 중국, 일본과 같은 대미국 무역흑자국의 통화 가치가 지나치게 약세라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공화당 대통령 후보의 발언도 엔·달러 환율을 떨어뜨리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발언을 계기로 트럼프 2.0 시대에는 달러 약세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는 예상과 함께 일본과는 제2 플라자 협정을 체결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공화당은 ‘강한 미국과 강한 달러(strong America & strong dollar)’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전통이다. 트럼프 1.0 시대에는 약달러 정책을 추진하지 않겠느냐는 전망이 있었지만 집권 기간에 달러인덱스 평균치가 ‘95’로 직전 버락 오바마 집권 2기 평균치인 85보다 높아 실질적으로는 달러 강세 정책을 추진했다. 트럼프 후보가 공화당 전통을 지켰다는 의미다.

제2 플라자 협정을 체결할 것이라는 시각도 있지만 지금은 1차 플라자 협정을 체결할 당시와 상황이 다르다. 미국이 경제패권을 다투고 있고, 상대 교역에서 최대 규모 적자를 기록 중인 국가가 이제는 일본이 아니라 중국이기 때문이다. 설령 제2 플라자 협정을 체결하더라도 펀더멘털 여건이 받쳐주지 않아 1차 플라자 협정처럼 효과를 보기도 어렵다.

결국 일본 경제가 처한 대내외 여건을 고려하면 7월 BOJ 회의를 앞두고 엔화 가치가 근본적으로 강세로 돌아설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그동안 엔저에 베팅해 많은 수익을 본 투자자가 차익을 실현하는 과정에서 엔·달러 환율이 하락하는 국면으로 판단된다. 환차익을 목적으로 엔고에 베팅하기에는 아직 불안하고 엔화 외에 수익을 낼 수 있는 투자수단도 많다. 작년 4월 우에다 총재 취임 이후 BOJ와 Fed의 피벗(BOJ는 금리 인상, Fed는 금리 인하)을 근거로 엔화를 사둔 투자자의 환차손은 키코 사태 때보다 더 큰 상황이다. 원·엔 환율은 작년 4월에 비해 여전히 200원 이상 낮은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