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가치설 vs 한계효용…'적정 가격'은 얼마일까
입력
수정
지면A29
소비자는 가능한 한 낮은 가격에 재화와 서비스를 구매하고자 하고, 판매자는 가급적 높은 가격을 받고 싶어 한다. 소비자가 원하는 가격과 생산자가 원하는 가격 사이의 ‘적정 가격’은 얼마일까.
18세기 후반 영국 산업혁명기에 등장한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상품의 가격이 생산 과정에 들어간 노동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봤다. 이것을 노동가치설이라고 한다.노동가치설은 상품 가격이 생산에 들어간 비용, 즉 원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이런 사고방식은 지금까지도 강하게 남아 있다. 커피 한 잔에 5000원이 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커피 원두는 1000원도 안 된다는 식의 언론 보도와 식품업체들이 원재료 가격 상승분 이상으로 소비자 가격을 올려 폭리를 취했다는 식의 비판은 모두 노동가치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노동가치설로 설명하기 힘든 현상이 많다. 소득 상위 1% 가수들의 평균 소득은 연 50억원 가까이 된다. 1%를 제외한 99% 가수의 평균 소득은 연 2000만원을 겨우 넘는다. 250배 차이다. 상위 1% 가수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데 나머지 99% 가수들보다 250배 더 큰 노력을 투입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런 맹점을 설명한 학자들이 1870년대 등장한 한계효용학파다. 이들은 가격이 생산자의 비용이 아니라 수요자가 얻는 효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봤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상위 1% 가수들이 압도적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의 노래와 춤에서 즐거움과 감동을 얻는 사람이 그만큼 많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소득을 얻는 것이다.
18세기 후반 영국 산업혁명기에 등장한 고전학파 경제학자들은 상품의 가격이 생산 과정에 들어간 노동의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고 봤다. 이것을 노동가치설이라고 한다.노동가치설은 상품 가격이 생산에 들어간 비용, 즉 원가에 의해 결정된다는 이론이다. 이런 사고방식은 지금까지도 강하게 남아 있다. 커피 한 잔에 5000원이 넘는데, 여기에 들어가는 커피 원두는 1000원도 안 된다는 식의 언론 보도와 식품업체들이 원재료 가격 상승분 이상으로 소비자 가격을 올려 폭리를 취했다는 식의 비판은 모두 노동가치설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노동가치설로 설명하기 힘든 현상이 많다. 소득 상위 1% 가수들의 평균 소득은 연 50억원 가까이 된다. 1%를 제외한 99% 가수의 평균 소득은 연 2000만원을 겨우 넘는다. 250배 차이다. 상위 1% 가수들이 노래하고 춤추는 데 나머지 99% 가수들보다 250배 더 큰 노력을 투입한다고 할 수 있을까.
이런 맹점을 설명한 학자들이 1870년대 등장한 한계효용학파다. 이들은 가격이 생산자의 비용이 아니라 수요자가 얻는 효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봤다. 이런 관점에 따르면 상위 1% 가수들이 압도적으로 높은 소득을 올리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들의 노래와 춤에서 즐거움과 감동을 얻는 사람이 그만큼 많기 때문에 그에 상응하는 소득을 얻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