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실우려' PF 대출 10조원 돌파

경·공매 PF 급증…저축은행서만 1조 증가

상반기 들어 두 배 급증
경·공매 진행 빨라질 듯
사진=연합뉴스
경·공매 대상인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대출 규모가 10조원을 넘어섰다. 올해 상반기 들어 두 배가량 급증했다. 부실 사업장 상당수가 추가 자금 공급이나 용도 변경 등 사업성 개선 없이 만기 연장만 거듭하면서다. 금융당국은 하반기 부실 사업장 경·공매를 강제해 구조조정 속도를 높인다는 방침이다.

2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이 제시한 사업성 평가 기준을 바탕으로 금융사들이 PF 사업장을 평가한 결과 경·공매 대상인 ‘부실우려’ 사업장 대출이 1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당국은 애초 작년 말 기준 경·공매 대상이 5조~7조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부동산 PF의 사업성 평가 기준은 네 단계(양호, 보통, 유의, 부실우려)다. 이 중 유의 또는 부실우려 사업장이 구조조정 대상이다. 유의 사업장은 대주단이 재구조화 또는 자율 매각에 나서야 하고, 부실우려 사업장은 상각해 손실로 인식하거나 경·공매에 넘겨야 한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말 기준 전체의 5~10%가 부실 사업장(유의, 부실우려)인 것으로 추정했다. 반년 새 전체 부실 사업장 규모는 크게 달라지지 않았지만 유의 등급 사업장이 부실우려 등급으로 강등된 여파다.

부실 사업장 매각 사실상 올스톱…사업성 개선 없이 만기연장 연명

저축은행 업권에서만 경·공매 사업장 규모가 1조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금융권 관계자는 “등급 평가를 가르는 대표적 기준은 만기 연장 횟수와 연체 기간”이라며 “대다수 사업장이 작년 12월 이후 매각이나 재구조화 작업을 거치지 않으면서 평가등급이 나빠졌다”고 설명했다.
금융당국은 부실 사업장 경·공매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부동산 공급을 확대하고 금융시장 불안을 막기 위해선 빠른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최근 금융권에 부실 사업장 재구조화 및 정리 계획을 제출하라는 지침을 보냈다. 재구조화와 정리 완료 시점은 6개월 이내로 못 박았다. 재공매 주기는 기존 3개월에서 1개월로 단축했고, 재입찰 때 공매 가격은 직전 회 최종 공매가보다 10% 이상 낮게 설정하도록 했다. 이에 따라 9월 말부터 경·공매 물량이 대거 쏟아질 것으로 관측된다.금감원은 재공매 주기와 정리 완료 시점은 필요시 조정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외 없이 적용되면 매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다. 금감원은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절차에 들어갔다. 금감원 관계자는 “경·공매를 빠르게 진행한다는 방침에는 변화가 없다”며 “기본적인 지침은 수정하지 않고 예외를 더 넓게 인정하는 방식으로 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정리가 본격화하면서 금융권의 부실채권(NPL·고정이하여신) 비율도 치솟고 있다. KB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금융지주의 올해 2분기 기준 고정이하여신은 약 12조3930억원으로 집계됐다. 총여신(2002조4354억원) 대비 NPL 비율은 0.62%로 2019년 1분기(0.63%) 이후 5년여 만에 가장 높았다.

부실 징후가 보이는 PF 사업장의 구조조정이 확대되면서 금융권의 충당금 적립액도 늘고 있다. 2분기 주요 금융지주는 추가 충당금을 적립했다. 신한금융이 2714억원, KB금융과 우리금융이 각각 800억원, 하나금융이 408억원 수준이다. 금융지주 최고리스크담당자(CRO)도 2분기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부동산 PF 시장에 경계감을 드러냈다. 최철수 KB금융 CRO는 “KB금융은 선순위가 95% 이상이고, PF 사업장도 대부분 수도권으로 사업성이 좋은 편이지만 PF 시장이 낙관적으로 돌아섰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금리 인하 속도와 부동산 시장 상황, 정부의 PF 구조조정, 정상 사업장에 대한 유동성 공급 등이 선결 과제”라고 설명했다.

최한종 기자 onebel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