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살아난 극장가?…풍악 울리지 못하는 이유는 [무비 인사이드]
입력
수정
상반기 천만 영화 두편 '최초'2024년 상반기 한국 영화는 두 편의 1000만 영화가 나오면서 팬데믹 이전 평균 수준으로 회복했다. 상반기에만 1000만 영화가 두 편이나 탄생한 것은 팬데믹 이후 처음이자 한국 영화 두 편이 이 기록을 세운 것은 한국 영화 산업 역사상 최초다.
매출액 팬데믹 이전 72% 수준으로 회복
흥행 양극화는 극심…'반쪽짜리 회복' 지적
스크린 독과점 문제 다시 불거져
하지만 1000만 영화 탄생의 이면에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숙제들이 많이 남아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파묘', '범죄도시4'를 제외하면 상반기 한국 영화 개봉작 중 매출액 200억원, 관객수 200만 명을 넘긴 작품이 없었다. 일각에서는 이 가운데 일부 대작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으로 인한 양극화 문제가 심각하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상반기 전체 매출액 6103억원…팬데믹 이전 평균 72%
상반기 극장가 전체 매출액은 '파묘', '범죄도시4'의 1000만 영화와 애니메이션 '인사이드 아웃2'의 흥행 영향이 컸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상반기 전체 매출액은 6103억원, 전체 관객 수는 6293만명을 기록하며 전년인 2023년 상반기보다 전체 누적 매출액과 관객 수가 소폭 증가했다. 이는 팬데믹 이전인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8390억원)의 72.7%로, 전년 동기와 비교했을 때는 0.4%(24억원) 증가하며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다. 관객 수는 팬데믹 이전 평균(1억99만명)의 62.3%, 전년 동기 대비로는 7.8%(454만명) 증가한 수치를 보였다.한국 영화 누적 매출액은 3583억원을 기록하며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 (3929억원)의 91.2% 수준을 나타냈다. 전년 동기보다 68.8%(1460억원) 늘어났다. 관객 수는 더욱 큰 폭으로 증가했다. 2024 년 상반기 한국 영화 누적 관객 수는 3731만명으로 2017~2019년 같은 기간 평균 (4782만명)의 78% 수준이었고, 전년 동기 대비로는 77.3%(1626만명) 증가했다.
한국 영화 매출액 점유율은 58.7%로 전년 동기 대비 23.8%P 증가했으며, 한국 영화 관객 수 점유율은 59.3%로 전년 동기 대비 23.2%P 증가했다. 매출액과 관객 수 점유율 모두 4년 만에 외국 영화에 우위를 점했다.
흥행 양극화 여전한 가운데 다시 불거진 스크린 독과점 문제
K-무비의 활력이 살아나고 있는 가운데 흥행 양극화의 심화는 여전해 '반쪽짜리 극장 회복'이라는 말까지 나왔다. 외계+인 2부’ ‘노량: 죽음의 바다’ ‘원더랜드’ 등 주요 한국 영화 기대작들은 모두 손익분기점에 크게 못 미치는 성적표를 받아 들면서 양극화 문제는 더욱 심각해졌다는 평가다. 상영 배정의 편중 문제, 즉 스크린 독과점 문제가 제기됐다.1000만 관객을 들인 '범죄도시4'가 대표적인 케이스다. 이 작품은 개봉 초 상영점유율 82%를 기록해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이는 영화진흥위원회 집계상 역대 최고치이다.상영점유율은 일정 기간 국내 극장의 전체 상영 횟수 중 특정 영화가 차지하는 비중을 가리키는 수치로, 영화계에선 통상적으로 상영점유율이 50%를 넘으면 스크린 독과점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이처럼 상영점유율이 과도하게 높은 영화에 대해 업계에서는 극장이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관객들이 몰릴 가능성이 높은 영화에 '몰아주기'를 한 결과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는 영화들은 그대로 묻힐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상영점유율이 50%를 넘은 영화는 2022년 '범죄도시 2'를 포함해 10편에 달했지만, 지난해 4편으로 줄었다. 그러다가 올해 상반기에만 '범죄도시 4', '인사이드 아웃 2', '파묘', '쿵푸팬더' 등 4편이나 돼 다시 증가하는 양상이다.이하영 한국영화프로듀서조합 운영위원은 "코로나 이후 관객 수가 줄어들면서 상영 횟수 독과점이 더 심화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결과적으로 영화 다양성이 파괴되면서 제작자는 예술성과 작품성이 있는 영화를 피하게 되고, 다양한 영화를 선택할 관객의 권리도 사라지게 된다"고 강조했다.
'작전'을 연출한 이호재 감독은 "한국의 영화 유통구조는 일부 대기업이 독점적으로 장악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며 "1, 2개의 특정 영화만 볼 수 있다면 관객의 선택 자유는 침해당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고 했다.
영화계에서는 스크린 독과점에 대한 법적 해결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반명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황재현 CJ CGV 전략지원담당은 "영화의 개봉일은 배급사가 정하는데 ‘범죄도시 4’와 같이 관객 동원력이 예상되는 작품은 개봉일 확정과 동시에 다른 배급사들은 영화를 내놓지 않는다"며 "극장의 스크린 쏠림 현상은 관객의 선택권을 반영한 것"이라고 했다. 신한식 한국영화관산업협회 본부장은 "기존의 시장 경제 규모를 축소하는 정책보다는 기존의 규모는 유지하되 다양성을 확보할 수 있는 진흥 방식의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김예랑 한경닷컴 기자 yesr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