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脫티메프족' G마켓·네이버로 몰린다
입력
수정
지면A15
티메프 이용자 20일만에 60%↓정산 지연 사태 여파로 티몬과 위메프의 영업이 사실상 중단되면서 오픈마켓을 비롯한 국내 e커머스 시장이 급속히 재편되고 있다. 200만 명을 웃돌던 티메프의 하루활성이용자(DAU)가 불과 20일 만에 60% 이상 급감하자 ‘탈(脫)티메프족’을 잡기 위한 경쟁이 달아오르고 있다. G마켓과 네이버쇼핑, 쿠팡 등이 반사이익을 누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G마켓 트래픽 최대 15% 늘어
티메프 여행상품 수요 대거 흡수
"네이버로 2.5조 거래 유입" 전망
'직매입' 쿠팡도 반사이익 주목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575399.1.jpg)
실제로 G마켓의 DAU는 증가세다.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티몬과 위메프의 DAU는 정산 지연 사태가 본격화되기 전인 지난달 9일 각각 120만 명, 80만 명이었지만 불과 20일 만에 60% 이상 급감해 38만 명, 29만 명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11번가, 쿠팡, 알리익스프레스 등의 DAU도 소폭 감소했지만, G마켓은 유일하게 111만 명에서 116만 명으로 4%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기적으로는 양대 e커머스 플랫폼인 네이버쇼핑과 쿠팡으로 탈티메프족이 몰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판매자와 이용자들이 상대적으로 안전해 보이는 1, 2위 e커머스로 쏠리면서 양강 구도가 더 강화될 가능성도 크다.특히 국내 최대 오픈마켓인 네이버쇼핑이 티메프의 알짜 판매자들을 대거 유치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쇼핑은 2022년 기준 국내 오픈마켓 시장의 42%를 점유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지난달 25일 낸 보고서에서 “이번 사태로 연 7조원 수준의 총거래액(GMV)이 경쟁 오픈마켓으로 유입될 것”이라며 “국내 최대 오픈마켓 사업자인 네이버로 2조5000억원 이상이 들어올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했다.
직매입 비중이 큰 쿠팡도 이용자 증가를 기대하고 있다. 오픈마켓의 정산 및 환불에 대한 불안감이 커진 상황에서 판매자로부터 물건을 매입한 뒤 판매하는 사업 방식이 더 안정적인 것으로 판단하는 소비자가 늘고 있어서다.
e커머스업계는 국내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 알리익스프레스 등 C커머스의 움직임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 e커머스업계 관계자는 “가성비를 앞세워 점유율을 높이고 있는 알리익스프레스가 추후 여행상품 등으로 카테고리를 확장하면 티몬·위메프의 기존 고객을 빨아들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양지윤 기자 y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