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장벽 세워달라"…캐나다 철강업계, 정부에 中 관세인상 촉구
입력
수정
캐나다의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들이 정부에 대(對)중국 관세 부과를 촉구했다. 저렴한 중국산 철강이 캐나다에 대거 유입되면서 시장 지배력을 상실할 위기에 처했고, 지역 일자리까지 위협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철강생산자협회(CSPA)의 캐서린 코브든 회장은 이날 오타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철강업계는 지난 10년 이상 중국의 과잉 생산으로 인해 파괴적인 영향을 받았다”며 “중국은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 캐나다 정부는 그들이 규칙을 지키고 있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멕시코는 이미 중국산 알루미늄 및 철강에 대한 관세를 높이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고도 밝혔다.캐나다 철강업계는 철강 산업이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철강, 철, 알루미늄 제품은 56억캐나다달러(약 41억달러)어치로 2010년~2020년의 평균 수입액보다 70% 많은 수준이다. 금액이 아닌 무게로 따졌을 때 지난해 수입량은 2010년~2020년 평균 수입량의 두 배 이상으로 집계됐다.코브든 회장은 “이미 여러 직접 관세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철강의 캐나다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의 접근 방식은 효과가 없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선택지가 될 수 없다. 행동하지 않으면 지역 사회의 좋은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정부의 대응을 촉구했다.
장 시마르 캐나다 알루미늄협회 최고경영자(CEO)는 “미국과 멕시코의 (대중국 관세) 조치로 인해 캐나다는 중국이 북미에 무관세로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됐다”며 “캐나다는 중국 제품의 진입 원천이 되는 위험에 노출된다”고 진단했다.정부 역시 중국의 과잉 생산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중국이 저렴한 제품을 바탕으로 공급망을 장악하고 자국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캐나다 재무장관은 “중국은 의도적이고 국가가 주도하는 과잉 생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정부는 이달 초 중국 전기차 수입 제한과 관련한 논의를 마무리 지었다. 미국 및 유럽연합(EU)의 정책과 비슷한 방향으로 높은 관세 부과 검토도 포함됐다. 프리랜드 장관은 캐나다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들과 만나 전기차 이외에 다른 부문의 관세 부과도 고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다만 관세 발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면 무역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2018년 캐나다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을 밴쿠버 공항에서 체포했을 때,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 격으로 캐나다산 캐놀라 수입을 3년간 중단했다”고 전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
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에 따르면 캐나다 철강생산자협회(CSPA)의 캐서린 코브든 회장은 이날 오타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철강업계는 지난 10년 이상 중국의 과잉 생산으로 인해 파괴적인 영향을 받았다”며 “중국은 규칙을 지키지 않는다. 캐나다 정부는 그들이 규칙을 지키고 있다고 착각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과 멕시코는 이미 중국산 알루미늄 및 철강에 대한 관세를 높이기 위한 작업에 들어갔다고도 밝혔다.캐나다 철강업계는 철강 산업이 중국의 과잉 생산 문제를 가장 잘 보여준다고 주장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해 캐나다가 중국으로부터 수입한 철강, 철, 알루미늄 제품은 56억캐나다달러(약 41억달러)어치로 2010년~2020년의 평균 수입액보다 70% 많은 수준이다. 금액이 아닌 무게로 따졌을 때 지난해 수입량은 2010년~2020년 평균 수입량의 두 배 이상으로 집계됐다.코브든 회장은 “이미 여러 직접 관세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국산 철강의 캐나다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의 접근 방식은 효과가 없다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이어 “아무것도 하지 않는 것은 선택지가 될 수 없다. 행동하지 않으면 지역 사회의 좋은 일자리가 사라질 위험이 있다”고 정부의 대응을 촉구했다.
장 시마르 캐나다 알루미늄협회 최고경영자(CEO)는 “미국과 멕시코의 (대중국 관세) 조치로 인해 캐나다는 중국이 북미에 무관세로 진입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가 됐다”며 “캐나다는 중국 제품의 진입 원천이 되는 위험에 노출된다”고 진단했다.정부 역시 중국의 과잉 생산에 비판적인 입장이다. 중국이 저렴한 제품을 바탕으로 공급망을 장악하고 자국 산업을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크리스티아 프리랜드 캐나다 재무장관은 “중국은 의도적이고 국가가 주도하는 과잉 생산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캐나다 정부는 이달 초 중국 전기차 수입 제한과 관련한 논의를 마무리 지었다. 미국 및 유럽연합(EU)의 정책과 비슷한 방향으로 높은 관세 부과 검토도 포함됐다. 프리랜드 장관은 캐나다 철강 및 알루미늄 제조업체들과 만나 전기차 이외에 다른 부문의 관세 부과도 고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다만 관세 발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면 무역 보복으로 이어질 수 있어 신중한 태도를 취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블룸버그 통신은 “2018년 캐나다가 미국의 대이란 제재 위반 혐의로 멍완저우 화웨이 부회장을 밴쿠버 공항에서 체포했을 때, 중국은 이에 대한 보복 격으로 캐나다산 캐놀라 수입을 3년간 중단했다”고 전했다.
한경제 기자 hank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