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사주 매입 나선 상장사, 절반은 주가 하락
입력
수정
지면A1
국내 상장사들이 정부의 ‘밸류업’(기업 가치 제고)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자사주 매입을 늘리고 있지만 효과는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 기업 중 55%는 오히려 주가가 하락했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 상장사는 총 253곳이었다. 공시 이후 지난 9일까지 주가가 오른 곳은 107곳, 떨어진 곳은 141곳이었다. 5곳은 보합권이었다.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건축소재기업 SG(상승률 148.6%)였다. 가장 많이 하락한 상장사는 건강식 플랫폼 운영사 푸드닷컴(하락률 52.3%)이었다.
자사주 매입 공시를 한 코스피 상장사는 90곳이었다. 이들 기업의 주가는 자사주 매입 공시를 낸 후 지난 9일까지 평균 2.56% 올랐다. 코스닥 상장사 중에는 163곳이 자사주 매입 공시를 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평균 주가는 2.73%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올 들어 2.5%, 코스닥지수는 11.8% 각각 내렸다.
전문가들은 “실적 악화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평가받은 기업은 자사주 매입 공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들어 자사주 매입을 공시한 상장사는 총 253곳이었다. 공시 이후 지난 9일까지 주가가 오른 곳은 107곳, 떨어진 곳은 141곳이었다. 5곳은 보합권이었다.주가가 가장 많이 오른 곳은 건축소재기업 SG(상승률 148.6%)였다. 가장 많이 하락한 상장사는 건강식 플랫폼 운영사 푸드닷컴(하락률 52.3%)이었다.
자사주 매입 공시를 한 코스피 상장사는 90곳이었다. 이들 기업의 주가는 자사주 매입 공시를 낸 후 지난 9일까지 평균 2.56% 올랐다. 코스닥 상장사 중에는 163곳이 자사주 매입 공시를 냈다. 같은 기간 이들 기업의 평균 주가는 2.73% 하락했다. 코스피지수는 올 들어 2.5%, 코스닥지수는 11.8% 각각 내렸다.
전문가들은 “실적 악화 등으로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고 평가받은 기업은 자사주 매입 공시가 효과를 발휘하지 못했다”고 분석했다.
이시은 기자 s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