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구나 글 쓰는 시대, 누구보다 잘 쓰고 싶을 때 볼만한 책들 [서평]
입력
수정
어른을 위한 말 지식
노경아 지음
라이프앤페이지
292쪽
1만8500원
이런 제목 어때요?
최은경 지음
루아크
232쪽
1만7000원
<어른을 위한 말 지식>은 우리말을 바르게 사용하는 방법을 전하는 책이다. 신문사에서 29년째 교열기자로 일하고 있는 노경아 한국일보 교열팀장은 맞춤법 등 ‘법’ 중심의 딱딱한 글이 아닌, 살아가는 이야기에 우리말을 담아 편안하게 익힐 수 있게 돕는다. ‘애끊다-애끓다’, ‘매다-메다’, ‘난이도-난도’처럼 늘 쓰는 말인데 헷갈리는 단어들의 차이를 생활 속 이야기로 알기 쉽게 정리해 준다. ‘운동화 끈은 매고, 배낭은 메라’, ‘우표 붙은 편지를 부쳐라’, ‘마을 졸인 날에 갈치조림’ 등 발음이 같아 잘못 쓰기 쉬운 말들을 쉽게 구분하는 법도 알 수 있다.
저자는 말에 담긴 마음까지 헤아릴 줄 아는 품위 있는 우리말 사용법도 알려준다. 장애인을 친근하게 표현하기 위해 통용되었던 ‘장애우’가 잘못된 이유는 초등학생이 장애를 가진 80대 어르신에게 “친구야”라고 부르는 예의에 어긋난 말이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벙어리장갑’도 언어장애인을 비하하는 말이라 쓰지 말아야 한다. 차장, 부장, 국장 같은 지위는 자체가 호칭이자 존칭이기 때문에 ‘님’을 굳이 붙일 필요가 없다고 덧붙인다.
저자는 ‘수능 시험을 보지 않는 청소년들이 있고, 수능 날 저녁 대학 비진학자 모임이 열린다’는 글의 제목을 뽑는 과정을 보여준다. ‘16일 수능 보는 청소년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수능 날 저녁 홍대, 수험권 없는 이들이 모이는 이유’, ‘온 국민의 수능 응원은 완전히 달라져야 합니다’ 등 여러 제목을 뽑지만 딱 와닿지 않는다. 결국 ‘매년 수능 날이면 온 국민이 빠지는 착각’이란 제목으로 괜찮은 조회수를 기록한다.
저자는 제목에서 약간의 과장은 시선을 끌고 독자에게 흥미와 재미를 주지만 정도를 넘지 않게 중심을 잘 잡아야 한다고 강조한다.
최종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