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심하기엔…" 美 경기침체 불안 여전
입력
수정
지면A10
골드만삭스·JP모간, 시장 분석미국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시장 전망치를 밑돌자 금리 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주식시장이 반등했다. 하지만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이 여전하다는 우려도 만만치 않다. 골드만삭스, JP모건 등 월가 대표 투자은행(IB)은 미국 경제 침체 가능성이 수개월 동안 크게 확대됐다고 지적했다.
"경기침체 확률 더 높아졌다"
![](https://img.hankyung.com/photo/202408/AA.37701233.1.jpg)
JP모간이 자산 유형별로 파악한 분석도 유사한 결과가 나왔다. 3월 말 20%이던 미국 경제 침체 확률은 최근 31%까지 높아졌다. 특히 금속시장과 5년 만기 국채시장에서 침체 확률이 각각 67%, 58% 반영된 것으로 확인됐다.
블룸버그는 “미국 국채시장의 신호, 경기 순환 흐름에 극도로 민감한 주식 실적을 보면 경제 침체 가능성이 실질적으로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해석했다.지난주 폭락한 세계 증시는 최근 미국 경제 데이터가 우호적으로 나오면서 진정세를 찾고 있다. 전일 미국 소비자의 향후 물가 전망치를 보여주는 중기 기대인플레이션율이 역대 최저 수준으로 내려간 데 이어 이날 공개된 7월 PPI 증가율은 전월 대비 0.1%에 그쳐 시장 전망치보다 낮았다.
블룸버그는 “시장이 기대하는 데이터가 연이어 나오면서 경제학자들이 미국 경제의 침체 위험을 아주 크게 보지 않고 있다”면서도 “경제 침체 우려가 완전히 사라진 게 아니기 때문에 경제지표가 하나씩 발표될 때마다 금융시장이 과잉 반응하는 모습은 당분간 이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