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 유해발굴 사업, 정권 상관없이 계속" [이상은의 워싱턴나우]

北 송환 유해상자서 韓·美 전사자 확인
"북한의 협력 절실…인도주의적 요청 응했야"
켈리 맥키그 DPAA 국장(가운데)이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오른쪽)과 함께 미국과 한국, 베트남이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유해발굴 사업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한국전쟁 실종자를 찾고 이들의 유해를 발굴해 신원을 확인하는 사업은 차기 정부의 성향과 관계없이 꾸준히 이어질 것입니다."

켈리 맥키그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 실종자확인국(DPAA) 국장은 실종자 가족 대상 설명회(15~16일)를 앞두고 지난 14일 미국 버지니아주 알링턴에서 이근원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장 등과 함께 개최한 미디어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맥키그 국장은 "이 사업은 정치 성향에 관계 없이 초당적인 지지를 강력하게 받고 있어 정치적 성향에 좌우되지 않는다"며 "베트남전 등 실종자 확인 대상 범위가 넓어지고 있어 관련 예산은 오히려 증가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맥키그 국장은 "현재 총 434명의 가족 구성원이 실종자를 확인해 달라고 요청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한국전 실종자로 보인다"고 했다. 특히 올해 실종자 가족 설명회에는 172명이 신규 참석했다며 젊은 세대가 윗 세대와 연결되기 위해 설명회에 참석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는 "DNA 기술 덕분에 과거에 확인하지 못했던 유해도 확인할 수 있게 됐다"며 "인도주의적인 노력이기 때문에 (북한과 같은) 과거의 적국과도 협력할 수 있는 외교적 도구"라고 평가했다. 미국은 2018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만나는 북미정상회담을 가진 후 유해발굴 작업에 북한의 협조를 요청했다. DPAA 산하 한국전쟁 전사자 신원확인 프로젝트(KWIP)의 크리스틴 그로우 소장은 "북한이 송환한 유해상자 55개(K-55)에서 250명의 유해가 나왔으며 이 중에서 지금까지 미군 전사자 93명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군으로 파악된 유해 88구는 한국 측으로 송환하고, 나머지 69구에 대한 감식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맥키그 국장은 그러나 현재는 북한과의 협력관계가 잘 진행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모든 수준에서 접촉을 시도하고 있으나 응답이 없다"고 했다. 한국전쟁에서 실종된 미군은 7491명에 달한다. 이 중 5300명 가량의 유해는 북한 땅에 있을 것으로 DPAA는 추정하고 있다.

맥키그 국장은 "미국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에서도 이는 국가적인 약속"이라며 "우리는 각 국가를 위해 최고의 희생을 한 이들이 사랑한 사람들에게 답변을 제공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말했다.

워싱턴=이상은 특파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