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尹에 "조건 없이 만나자"…韓에는 해병대원 특검법 논의 제안

李, 유례없는 일극 체제 구축

영수회담·당 대표 회동 추진
'국정 파트너' 입지 부각하고
아젠다 제시해 존재감 과시
벌써부터 대권 준비 '시동'

'제3자 특검' 의제로 언급
여당 내 분열도 노린 듯
18일 서울 방이동 올림픽체조경기장에서 열린 전당대회에서 이재명 대표 등 새로 선출된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꽃다발을 들어 보이고 있다. 왼쪽부터 김병주 전현희 최고위원, 이 대표, 김민석 한준호 이언주 최고위원. 연합뉴스
18일 연임에 성공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임기는 2026년 8월까지다. 대선을 불과 7개월 앞둔 시점이다. 그해 6월 치러지는 지방선거 공천권까지 행사하며 유례없는 ‘일극 체제’를 갖추게 됐다. 사법 리스크라는 변수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차기 대선 후보 선출을 통한 대권 도전까지 탄탄대로다.

연임이 확정되자마자 윤석열 대통령에게 영수회담을 제안한 것도 대통령과 직접 소통하는 ‘국정 파트너’로서 자신의 입지를 부각한 것이란 평가가 나온다. 강력한 당 장악력을 앞세워 ‘이재명 대통령 만들기’ 프로젝트를 노골적으로 추진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되는 가운데 국가적 과제를 놓고 정부와의 협상에서 주도력을 높이려는 행보다.

尹·韓에 회동 제안, 배경은

영수회담을 제안하면서 이 대표는 “시급한 일은 민생경제 회복이지만 국민께 희망을 드릴 수 있다면 의제를 제한할 필요가 없다”고 했다. 이어 “지난 4월 총선 이후 (열린) 영수회담을 국민께서 기대를 갖고 지켜보셨지만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했다”며 “당시 언제든 다시 만나 국정에 대해 소통하고 의논하자는 데 뜻을 같이한 만큼 윤 대통령의 화답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영수회담이 성사된다면 이 대표는 2기 체제에서 부각하는 ‘정책적 유능함’을 꺼낼 가능성이 높다. 거대 야당을 이끄는 제왕적 당 대표로서 각 분야에서 주요 아젠다를 제시해 정책적 유능함을 과시할 것이란 전망이다. 전당대회 공약으로 내놓은 ‘에너지 고속도로 건설’ 정책안과 자신의 대표 정책인 기본소득 및 기본주택 관련 내용을 새로운 의제로 꺼내 들 수도 있다.

아울러 이 대표는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에게도 회동을 제안했다. 영수회담에선 의제를 따로 설정하지 말자고 한 것과 달리 대표회담에는 윤 대통령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해병대원 특검법과 민생회복지원금 특별법을 구체적으로 언급하며 한 대표를 압박했다. 특히 이 대표는 한 대표가 제안한 ‘제3자 특검 추천안’을 거론하며 “특검 도입을 전제로 실체 규명을 위한 더 좋은 안이 있는지 열린 논의를 기대한다”고 했다. 박찬대 원내대표가 지난 16일 한 대표에게 추천안 발의를 요구한 데 이어 재차 압박한 것이다.특검법 추진을 놓고 다른 목소리가 나오는 여당의 분열을 노렸다는 분석이다.

성사 가능성 높지 않을 듯

정치권에선 대통령실과 여당이 이 같은 이 대표의 제안을 당장 받아들일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본다. 전당대회 과정에서 나온 막말과 ‘김건희 특검법’ 등으로 대통령실의 분위기는 영수회담 거부로 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대표가 다루고 싶어 하는 민생 관련 의제도 한 대표와 먼저 논의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국민의힘 관계자는 “대화는 좋은 것이지만 이 대표가 영수회담보다 우선 민생 관련 부분을 한 대표와 상의하는 것이 제대로 된 순서”라고 말했다. 특히 국회에서 여야가 대치하고 있는 만큼 여당 대표를 뛰어넘어 대통령과 직접 대면하는 것에 대한 비판적인 목소리도 여권 내에 강하다.그럼에도 이 대표가 정부·여당과 만남을 주선한 것은 대선 레이스를 준비하며 당 외연을 확장하는 전략과 맞닿아 있다. 이 대표는 이날 “대한민국에서 확실한 수권정당으로, 유능한 민생정당으로 만들어 내겠다”고 강조했다. 민주당은 이미 국회 차원에서 각종 연구모임을 통해 이 대표의 정책과 구상을 구체화하는 작업을 하고 있다. 중도 및 중산층을 겨냥해 민주당이 주도하는 반도체특별법, 상속세법 완화 조치 등 기존 색채와는 다른 정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 특히 청년 세대와 서울 등 수도권을 겨냥한 파격적인 행보가 나올 수도 있다.

배성수 기자 baeba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