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액 채권자들에 빚 떠넘기기…美 채무조정 '은밀한 계약' 늘어
입력
수정
지면A12
파산신청 전 기업 LME 계약미국 저신용 부채 시장에서 밀실 협상, 배신 등 ‘막장 드라마’ 같은 상황이 급증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고금리 장기화로 투자 부적격 등급의 채권·대출 상환에 어려움을 겪는 업체가 늘고 있어서다. 공공기관과 금융사 주도로 체계적인 채권단의 자율협약이 가능한 한국과 달리 미국에선 민간 금융사 간 결속력이 약해 각자 이해관계에 따른 물밑 협상이 긴밀하게 벌어지고 있다.
고액 채권자만 가능해 악용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9일(현지시간) “고금리 장기화로 재정난에 내몰린 미국 업체들이 저신용 부채 시장에서 ‘채권관리행사(LME)’ 전략을 확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LME는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을 내기 전 채무 업체와 채권단 간에 이뤄지는 공격적 채권 관리 전술이다. 경기 침체 우려가 높고 금리가 급등하는 시기에 많이 이뤄진다.WSJ에 따르면 사모펀드 운용사가 소유한 부실 업체들이 주로 LME 전략을 활용해 채권자 사이에서 줄다리기하고 있다. 코리 쇼트 바클레이스 신용 애널리스트는 최근 보고서에서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둔화 우려 등에 따라 미국 채권 시장에서 향후 LME 대상이 될 수 있는 부실 채권 규모가 1550억달러로 커질 것”이라고 추산했다.
기업 소유주인 사모펀드 운용사는 채권자 가운데 특정 대출사에 우선 접근한다. 해당 금융사를 설득해 만기가 도래하는 부채를 금액이 더 작은 규모의 장기채로 교환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다. 재정난을 겪는 업체는 이 같은 협상을 통해 당장 부채 상환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다. 사모펀드 운용사가 비밀리에 접근한 채권자와 협상을 마치면 나머지 채권자는 협상에서 배제되고 더 불리한 조건을 강제로 수락해야 할 수도 있다. 채무조정안은 채권단 과반수의 합의를 얻어야 해 통상 총채권액의 50% 이상을 보유한 대형 채권자에게만 이 같은 접근이 이뤄진다.
최근 몇 년 새 금리가 빠르게 인상되면서 LME 전략이 급증했다고 WSJ는 분석했다. 금리가 오르면서 업체들이 부담해야 할 이자 비용이 늘어 사모펀드 운용사 수익률이 떨어졌기 때문이다. 지난해 사모펀드 수익률은 약 6%로 S&P500지수(24%)보다 낮았다. 즉 사모펀드 운용사가 손실을 만회하고 소유하고 있는 업체의 채무불이행을 막기 위해 밀실 협상을 늘리고 있다는 의미다. 통신 업체 알티스, 클라우드 컴퓨팅 회사 랙스페이스테크놀로지 등이 이 같은 협상을 하고 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