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자본' 물었다가 초토화 될 판…동남아 '초비상' 걸렸다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중국 자본 받아들였다가
美보복에 산업 초토화 위기
사진=AP
중국산 태양광 패널을 겨냥한 미국의 관세 조치가 동남아시아에 타격을 입히고 있다. 중국이 미·중 무역 갈등을 우회하기 위해 동남아에 대거 투자했던 태양광 공장들이 미국 당국에 의해 '중국산 패키지'로 엮이며 정조준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국의 대(對)동남아 관세 움직임에 따라 중국 기업들의 동남아 현지 공장이 문 닫을 위기에 처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2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룽지그린에너지, 트리나솔라 등 중국 기업들이 태국과 베트남, 말레이시아, 캄보디아 등 동남아 지역에 지어놨던 태양광 공장의 운영을 중단하거나 폐쇄하는 등 사업 규모를 축소하고 있다. 동남아는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가장 많은 태양광 패널을 생산하고 있다. 미국 관세당국의 표적이 되는 것을 피하고자 했던 중국 기업들이 동남아에 설비를 세워 중국산 딱지를 떼왔기 때문이다.블룸버그NEF에 따르면 현재 중국의 해외 태양광 모듈 생산 용량의 40% 이상을 동남아 네 개 나라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 컨설팅 기관 우드맥켄지의 글로벌 태양광 공급망 연구 책임자 야나 흐리슈코는 "현지 중국 공급업체들의 분위기는 생산 라인을 전부 싸들고 인도네시아나 라오스 또는 중동으로 옮기려는 것으로 보인다"며 "일부 업체만 미국의 관세 수준이 결정되기를 기다리며 이전 여부를 저울질하고 있다"고 말했다.
중국과 동남아 현지 언론은 룽지그린에너지가 베트남에서 다섯 개 생산 라인을 중단하고 말레이시아 공장의 경우 운영을 축소하기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트리나솔라는 동남아 지역에서 일부 공장을 폐쇄할 계획을 세웠다. 징코솔라는 이미 말레이시아의 한 공장을 폐쇄한 것으로 알려졌다. 룽지그린에너지 대변인은 "무역 정책 변화로 인해 동남아 여러 공장의 생산 계획을 조정했다"고 밝히면서도 "미국 말고도 인도, 캐나다 등 다른 시장에서 룽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다"며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이 청정 에너지 기술 시장에서 중국의 지배력을 탈환하기 위해 무역 전쟁을 벌이기 시작하자 글로벌 공급망 전반에 연쇄적 혼란이 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정부는 작년 8월 "2012년 미국이 중국산 태양광 부품에 관세(세율 25%)를 부과한 뒤로 중국 제조업체들이 동남아에 투자를 시작했고, 이에 따라 미국 관세를 불법적으로 우회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실상은 중국산인데 중국산이 아닌 척 위장했다는 의미다.
미 정부는 이후 현재 25%인 중국산 태양광 세율을 50%로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동남아 역내 다섯 개 기업에 대해서도 관세를 매기겠다고 밝혔다. 중국산 저가 공세에 시달려왔던 미국 태양광 기업들은 정부에 "동남아 4개국에서 수입되는 모든 태양광 제품에 최대 272%의 추가 관세를 부과해달라"며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BNEF는 동남아산 제품의 관세율이 30%에서 50% 사이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중국산에 대한 관세와 균형을 맞출 것이란 전망이다.

미 당국은 관세 부과 절차에 고삐를 늦추지 않고 있다. 미국국제무역위원회(ITC)는 지난 6월에도 "중국에 이은 동남아에서의 저가 수입으로 인해 미국 제조업체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글로벌 무역 연구기관 힌리히재단의 데보라 엘름스 무역 정책 책임자는 "미국의 관세는 내년 초 부과될 가능성이 높고, 민주당이 (오는 11월) 대통령선거에서 승리한다면 부과 시점이 더 빨라질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공화당)이 재선에 성공할 경우에도 중국과 동남아를 겨냥한 무역 장벽 조치는 더욱 세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다만 미국의 국내 태양광 제조업 공급망이 예상만큼 빨리 자리잡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변수"라고 덧붙였다. 미국 정부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을 제정해 '미국 땅에 미국산 태양광 패널을 설치해 탈탄소화를 이루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지만, 입법 효과가 미미하다는 지적이다.

지난해 미국이 수입한 태양광 제품의 75% 이상은 동남아에서 건너온 것이다. 특히 올해 2분기에도 미국의 동남아산 태양광 패널 수입량은 전년 동기 대비 36%나 급증했다. 동남아에 대해서도 무역 장벽이 세워질 조짐이 잇따르자 태양광 프로젝트 개발사들이 앞다퉈 저렴한 동남아산 패널을 쟁여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