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범 앞에 톰슨가젤 신세가 싫어…미련 없이 떠나온 외국은 어떨까

한국이 싫어서

꼰대 직장 상사와 억센 가족 등
갑갑한 일상 탈출하는 성장기
집에서 서울 강남의 회사까지 출근하는 데 두 시간이 걸린다. 회사에 도착하면 몸은 이미 녹초가 된다. 점심시간에는 굳이 동행하고 싶지 않은 팀원들과 굳이 먹고 싶지 않은 동태탕으로 끼니를 때운다. 그리고 더더욱 지옥 같은 퇴근길…. 계나는 한국이 싫다.

그는 뉴질랜드로 떠난다. 자전거로 출퇴근하고, 해가 지기 전에 일이 끝나는 곳이다. 퇴근한 뒤에는 친구들과 와인을 마시고, 1년 내내 온화한 날씨 속에 바다를 거닐 수 있는 곳. 장강명의 동명 소설 <한국이 싫어서>를 영화로 만든 ‘한국이 싫어서’는 지긋지긋한 한국을 떠나는 계나(고아성 분)의 이야기를 그린다.계나는 자신의 인생을 톰슨가젤에 비유한다. 언젠가 표범에게 잡아먹힐 톰슨가젤. 영화 서두는 초원의 톰슨가젤만큼이나 유약하고 평범한 계나가 한국을 경멸할 수밖에 없는 상황들로 채워진다. ‘꼰대’ 상사와 순진한 남자친구, 억척같은 가족과 부대끼며 살아간다. 그녀의 초라한 터전에서 행복 따위는 소소하게라도 존재하지 않는다.

지극히 평범한 일상이지만 영화의 서두는 보는 이들을 강력하게 빨아들인다. 계나가 불행의 원천이라고 여기는 일상은 우리 모두의 그것과 정확히 일치하기 때문이다. 더 암울한 사실은 일상이라는 덫에서 빠져나가는 것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사실이다.

계나는 빠르게 선택한다. 그 모든 것을 버리기로. 그는 ‘헬조선’을 탈출하고 뉴질랜드 생활에 적응한다. 영화 중반은 새로운 일상에 적응해가는 과정을 그린다.‘한국이 싫어서’는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만한 상황들로 전개된다. 그럼에도 안타까운 것은 정작 영화의 중추이자 본론인 한국을 떠난 이후의 이야기, 즉 뉴질랜드에서 계나가 조우하는 인물들과의 에피소드가 놀라울 정도로 단조롭다는 사실이다.

가령 계나처럼 한국이 싫어서 떠나온 유학생, 친절한 한국인 부부, 자유로운 영혼의 마오리 친구 등은 뉴질랜드가 아니라 어디에서라도 만날 수 있는 전형적이고 흔한 캐릭터다. 이들과 일하고 파티를 벌이는 장면들 역시 사실상 한국과 크게 다를 바 없다. 그는 왜 하필 뉴질랜드로 떠나야 했는가.

‘한국이 싫어서’는 한국이 싫어서 떠난 자의 기행기이자 현실에 도전하는 청년의 성장 영화다. 다만 이야기의 단조로움과 저예산 독립영화라는 현실적인 제약에서 비롯됐을 현지 풍광의 한계 등은 아쉬운 부분이다.하지만 확실한 것은 후련함이라는 초강력 묘약을 선사한다는 사실이다. 일상의 선을 넘지 못하는 누군가에게, 혹은 현실의 덫에서 빠져나갈 궁리만 하고 있는 우리 모두에게 ‘한국이 싫어서’는 후련하고 설레는 탈피를 선도한다.

김효정 영화평론가·아르떼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