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W 2024' 앞두고…타이거 리서치, '韓 블록체인 시장 가이드' 발간

타이거 리서치-팩트블록-해시드
KBW 2024 대비 韓 웹3 시장 지침서 공개

"정치, 역사부터 시장 환경까지 상세 정보 제공"
사진=타이거리서치
국내 최대 웹3 컨퍼런스 코리아 블록체인 위크 2024(KBW 2024)가 내달 1일~7일 개최된다. KBW 참가를 위해 한국을 찾는 글로벌 블록체인 인사들을 위해 타이거리서치와 KBW 주최사 팩트블록, 공동 주최사 해시드가 한국 웹3 산업에 대한 지침서, '한국 블록체인 시장 가이드'를 공개했다.

타이거리서치는 이번 가이드를 통해 △정치, 문화적 배경 △규제(Regulation), △중앙화거래소(CEX) △디파이(DeFi) △게임(Game), 대체불가능토큰(NFT), 메인넷(Mainnet), 엔터테인먼트(ENT) 등 18개 분야에 대한 마켓맵과 한국 웹3 시장의 주요 트렌드를 분석했다.

"韓 사업 위해선 정치·역사·문화 이해는 필수"

타이거 리서치는 대한민국 시장의 정치, 역사, 문화적 특성에 대해 이해해야 성공적인 사업을 전개하고 보다 깊이 있는 관계를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이 지난 반세기 동안 유례없는 급속한 경제 발전을 이룩한 만큼, 독특하고 복잡한 사회문화적 특성을 형성해왔기 때문이다.

역사적 환경의 중요 요인으로는 지난 1997년 발생한 'IMF 사태'를 꼽았다. IMF로 인해 급격한 외국 자본 유출과 원화 가치 폭락을 경험했던 한국 시장은, 이후 금융 규제에 있어 보다 신중하고 보수적 접근을 채택하면서 웹3 및 가상자산(암호화폐) 산업에 있어서도 발전과 규제 사이의 균형을 찾으려 하고 있다고 해석했다.

비즈니스 문화적 환경 측면에서는 '대기업' 중심의 산업 발전을 키워드로 꼽았다. 한국 경제는 대기업을 중심으로 발전해왔으며, 이는 시장에서 대기업의 이름이 갖는 중요성으로 이어졌다.이러한 구조는 196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의 독특한 경제 발전 과정에서 비롯됐다. 때문에 한국에서 웹3 산업을 전개할 때도 대기업과의 사업 이력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마치 프로젝트의 신뢰성을 보증하는 강력한 레퍼런스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기업과의 협력이 즉각적인 수익으로 이어지지 않을 수 있지만, 이는 한국 내에서의 사업 확장에 결정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시가총액 기준 국내 10대 기업 시장 점유율 / 사진=타이거리서치
국내 시장의 문화적 특성으로는 '공정성에 대한 민감성', '로비 문화의 부재'에 대해 언급했다. 타이거 리서치는 한국 사회는 로비에 대해 서구권과 다른 접근 방식을 보이고 있다고 강조했다.

타이거리서치는 "유교 문화에 뿌리를 둔 만큼, 집단의 조화와 공동체 이익을 중시하기 때문에 특정 집단의 이익 추구가 부정적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은 공정성에 대한 높은 민감도로 이어졌으며, 이는 급속한 경제 발전의 불평등, 연구주의에 대한 비판, 세대 간 기회 공정성 요구 등에서 비롯됐다"고 해석했다.이러한 분위기로 인해 기업 활동도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 한국 기업은 정부나 다른 기업과의 관계에서 직접적인 로비보다 공식적이고 투명한 소통을 선호한다. 기업 단체들은 주로 공개 포럼, 간담회, 성명서 발표 등을 통해 의견을 표명한다.

보고서는 "결과적으로 한국에서는 로비 개념이 거의 존재하지 않으며, 공정성과 투명성을 중시하는 기업 문화가 형성됐다. 이러한 특성은 한국 사회의 고유한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전면 금지부터 이용자보호법까지…다소 엄격한 韓 규제

한국 시장의 규제 변화 / 사진=타이거리서치
타이거 리서치는 한국의 가상자산 규제 기조가 다소 엄격한 상황이라고 해석했다. 지난 2018년 '박상기의 난'으로 불리는 사건에서 박상기 당시 법무부 장관이 가상자산 거래소 금지와 폐쇄를 위한 법안 준비를 발표하며 강력한 규제 의지를 드러냈다. 당시 정부는 가상자산 투자를 도박으로 간주해 근절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가상자산이 글로벌 시장에서 하나의 상품으로 자리잡으면서, 공백으로 남아있던 '가상자산사업자'를 적법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2021년 3월 '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특금법)이 시행됐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사업자 범위가 정해지고, 원화 거래를 위한 실명계정 확보, 트래블룰, 사업자(VASP) 신고가 의무화 됐다.

그러나 이후에도 한국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차익거래, 사기성 프로젝트 몰락, 불법 청탁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했다. 특히 불법 리베이트 수수 사건을 통해 규제의 사각지대가 드러났고, 이는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공정성' 문제를 부각시키며 투자자 보호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이에 2024년 7월 '가상자산 이용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하,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 시행되어 불공정거래행위와 시세조종 등이 엄격히 금지됐다.

타이거 리서치는 "정부는 전면 금지 입장에서 자금세탁방지를 거쳐 투자자 보호를 중심으로 한 규제 체계를 구축하며, 마치 금융 라이선스와 같은 환경에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라고 해석했다.

韓 가상자산 투자자 '645만명'…시장 참여 매우 적극적

한국 시장의 대표적 특성인 투자자들의 적극성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한국의 가상자산 시장은 높은 거래량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상당한 주목을 받고 있다.

보고서는 "금융위원회의 '2024 하반기 가상자산 사업자 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국내 거래소 이용자 수는 645만명으로, 총 인구의 12.5%에 달한다. 더욱이 올해 초 가상자산 강세장에는 일일 거래량이 전통 유가증권 시장인 코스피(KOSPI)를 상회하는 모습도 보였다. 그만큼 한국인들이 가상자산에 뜨거운 관심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내 소매 투자자 거래 비율 / 사진=타이거리서치
한국 투자자들이 독특한 투자 패턴을 갖고 있다는 점도 강조했다.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거래량을 보면, 비트코인은 15%, 알트코인이 70~80%를 차지하고 있다. 바이낸스, 코인베이스 등 글로벌 거래소들에서 거래의 대부분이 비트코인인 것과 상반된 모습이다.

타이거 리서치는 "이러한 현상은 한국 투자자들의 적극적이고 공격적인 투자 성향을 반영한다"라며 "한국 투자자들은 가격 변동성이 큰 알트코인에 집중된 투자 행태를 갖고 있다"라고 설명했다.<블록체인·가상자산(코인) 투자 정보 플랫폼(앱) '블루밍비트'에서 더 많은 소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영민 블루밍비트 기자 20min@bloomingbit.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