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해 날 때 기다려 지붕 고칠 여유 없다"는 한은 총재의 쓴소리
입력
수정
지면A3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지금은 태풍만 아니라면 날씨가 흐려도 지붕을 고쳐야 하는 상황”이라며 구조개혁 필요성을 역설했다. 그제 서울대에서 열린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한은 공동 심포지엄’에서다. 그러면서 “왜 금리 인하를 망설여야 할 만큼 높은 가계부채와 수도권 부동산 가격 같은 구조적 문제에 빠지게 됐는지에 대한 성찰은 부족해 보인다”고 말했다. 최근 한은의 금리 동결 결정 직후 대통령실에서 이례적으로 “아쉽다”는 반응을 표시한 데 대한 작심 발언으로 읽힌다.
한은 총재가 ‘웬 구조조정 타령이냐’고 흘려들어선 안 된다. 거시경제가 인구 고령화와 산업 구조 등 비(非)경기적 요인에 좌우돼 금리 효과가 무력해지는 데 따른 통화정책 수장의 고언으로 곱씹어봐야 한다.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은 2001년만 해도 5.4%였지만, 그 후 줄곧 내리막을 걸어 지난해에는 1%대로 떨어졌다. 세계 최악 수준의 저출산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권인 노동생산성을 감안하면 2030년 이후 0%대로 추락하는 데 이어 2060년대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다. 장기 성장률을 높이려면 경제·사회 전반의 구조개혁을 통해 고비용 구조를 깨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 외에는 답이 없다. 그런데도 “손쉬운 재정·통화정책을 통해 임시방편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정작 꼭 필요하지만, 고통이 수반되는 구조조정은 미뤄왔다”는 이 총재의 진단은 적확하다. 노동·연금·교육 등 윤석열 정부의 3대 핵심 개혁 과제조차 이익집단의 반발과 정치권의 무능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는 상태다. 이대로라면 중진국으로 다시 주저앉을 수밖에 없다.
이 총재는 “우리에게 해 날 때를 기다려 구조조정을 할 여유가 없다”며 “단기 경제정책과 구조개혁을 함께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국정 브리핑을 통해 연금·의료·교육·노동 등 4대 개혁에 저출생 대응을 더한 ‘4+1 개혁’ 구상을 밝힌다. 한은의 고언에 화답해 지지부진한 구조개혁 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전기가 돼야 한다.
한은 총재가 ‘웬 구조조정 타령이냐’고 흘려들어선 안 된다. 거시경제가 인구 고령화와 산업 구조 등 비(非)경기적 요인에 좌우돼 금리 효과가 무력해지는 데 따른 통화정책 수장의 고언으로 곱씹어봐야 한다. 우리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은 2001년만 해도 5.4%였지만, 그 후 줄곧 내리막을 걸어 지난해에는 1%대로 떨어졌다. 세계 최악 수준의 저출산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최하위권인 노동생산성을 감안하면 2030년 이후 0%대로 추락하는 데 이어 2060년대에는 마이너스 성장으로 진입할 것이란 전망이다. 장기 성장률을 높이려면 경제·사회 전반의 구조개혁을 통해 고비용 구조를 깨고 생산성을 높이는 것 외에는 답이 없다. 그런데도 “손쉬운 재정·통화정책을 통해 임시방편으로 위기를 모면하고 정작 꼭 필요하지만, 고통이 수반되는 구조조정은 미뤄왔다”는 이 총재의 진단은 적확하다. 노동·연금·교육 등 윤석열 정부의 3대 핵심 개혁 과제조차 이익집단의 반발과 정치권의 무능으로 진전을 보지 못하는 상태다. 이대로라면 중진국으로 다시 주저앉을 수밖에 없다.
이 총재는 “우리에게 해 날 때를 기다려 구조조정을 할 여유가 없다”며 “단기 경제정책과 구조개혁을 함께 추진할 수밖에 없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오늘 국정 브리핑을 통해 연금·의료·교육·노동 등 4대 개혁에 저출생 대응을 더한 ‘4+1 개혁’ 구상을 밝힌다. 한은의 고언에 화답해 지지부진한 구조개혁 작업에 박차를 가하는 전기가 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