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악성 미분양' 1만6000가구 넘었다…12개월 연속 증가세

준공 후 미분양 증가로 시장 부담 가중
수도권-지방 미분양 온도차 더 커져
인허가·착공 늘었지만 분양·준공 감소
서울 인왕산에서 바라본 서울 시내 아파트와 주택가 모습. 연합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이 12개월 연속 늘어 1만6000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주인을 찾지 못하고 미분양이 계속돼 건설·부동산 업계의 자금 부담으로 이어지는 물량이다. 반면, 전체 미분양 물량은 한 달 새 3% 줄어들며 8개월 만에 하락 반전했다. 주택 공급을 예측할 수 있는 선행지표도 지난해보다 다소 개선됐는데, 올해 누적 실적은 여전히 부진한 상태다.


한 달 새 1182가구 늘어난 ‘악성 미분양’

30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2024년 7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의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1만6038가구로 지난 6월(1만4856가구) 대비 8% 증가했다. 준공 후 미분양은 지난해 7월 9041가구를 기록한 이후 12개월 연속 증가세다.

준공 후 미분양은 건설사와 시행사의 자금 부담으로 이어져 중소 업체의 경우 줄도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특히 중소 건설사가 많은 지방에선 부동산 경기 악화로 미분양이 점차 심해지고 있다. 전체 준공 후 미분양 물량 중 수도권은 2900가구에 그쳤지만, 지방은 1만3138가구로 한 달 새 1173가구나 늘었다. 특히 전남은 한 달 새 875가구가 늘어난 2502가구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가장 큰 상승 폭을 보였다. 뒤를 이어 경북도 지난 6월보다 290가구 늘어난 1239가구를 기록하며 증가율이 30.6%에 달했다.

그러나 준공 후 미분양을 포함한 전체 미분양 주택은 8개월 만에 하락 반전에 성공했다. 지난달 기준 전체 미분양 물량은 7만1822가구로 지난 6월(7만4037가구) 대비 3% 줄었다. 지역별로는 인천이 한 달 새 1287가구를 줄인 2849가구를 기록하며 가장 큰 감소세를 보였다. 광주(-20.3%)와 대전(-17.6%)도 미분양 감소 폭이 컸다. 반면, 부산은 지난 6월 대비 657가구가 늘어난 5862가구를 기록하며 전국에서 미분양 물량이 가장 많이 늘었다.기존 주택 매매시장 역시 수도권과 지방의 온도 차가 컸다. 지난달 기준 전국 주택 거래량은 6만8296건으로 지난 6월(5만5760건) 대비 22.5% 증가했다. 그러나 지역별로 나눠보면 수도권은 3만7684건으로 지난 6월 대비 증가율이 31.3%에 달했는데, 지방은 3만612건으로 같은 기간 13.1% 증가하는 데 그쳤다.


공급 선행지표 개선…분양은 감소

향후 주택 공급을 가늠할 수 있는 선행지표는 다소 개선된 모습을 보였다. 지난해 기저효과에 정부의 적극적인 공급 대책이 맞물리며 인허가와 착공 실적이 증가했는데, 분양과 준공은 분양 시장 악화로 감소세를 기록했다.지난 7월 전국 주택 인허가 실적은 지난달 2만1817가구로 지난해 7월(1만9707가구) 대비 10.7% 증가한 모습을 보였다. 정부의 주택 공급 대책에 따라 공공에서 적극적으로 공급에 나섰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7월까지의 누적 실적을 따지면 17만1677가구로 지난해(22만2515가구)와 비교해 22.8%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착공과 실적도 소폭 증가했다. 착공은 전년 동월(1만4829가구) 대비 8.1% 증가한 1만6024가구로 집계됐다.

반면, 분양 물량은 지난해 7월 1만3184가구에서 1만2981가구로 1.5% 감소했다. 준공 물량 역시 지난달 2만9045가구에 그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3만9526가구) 대비 26.5% 줄었다.

업계에선 정부의 공급 대책에 따라 신규 사업이 다소 늘었지만, 분양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실적이 감소세로 돌아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지난 6월까지만 하더라도 분양과 준공 실적이 지난해 실적을 상회했는데, 하반기 들어서며 공사비와 분양가 상승 등으로 시장이 더 냉각됐다는 것이다.여전히 찬 바람이 불고 있는 비(非)아파트 시장도 전체 부동산 시장에 부담이 되고 있다. 지난 7월 전국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3107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4031가구) 대비 22.9% 줄었다. 7월까지의 누적 실적을 살펴봐도 2만1439가구에 그쳐 지난해(3만2601가구)보다 34.2% 감소를 기록했다.

개발업계 관계자는 “다소 회복세를 보인 아파트 시장과 달리 빌라와 다세대 등 비아파트 시장은 여전히 찬바람”이라며 “회복세를 보였던 분양 시장이 다시 주춤하고 있다는 점도 업계의 불안 요소”라고 말했다.

유오상 기자 osy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