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박원순표' 480억 유령마을·1109억 보행로 모두 철거된다 [이슈+]
입력
수정
돈의문 박물관 마을·세운상가 공중보행로
혈세 낭비 논란됐는데…시 결국 철거 결정

2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세운상가 공중보행로를 철거하는 방안에 관해 이달 중 주민 공청회를 연다. 서울시 관계자는 "주민 의견을 수렴해 내년부터 철거 공사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세운상가 공중보행로는 종묘→세운상가→청계·대림상가→삼풍상가·PJ호텔→인현·진양상가까지 7개 건물을 잇는 길이 1㎞의 다리 겸 보행로다. 박 전 시장의 도시 재생 프로젝트의 핵심 사업 중 하나로, 예산 1109억원이 들었다. 2016년 착공해 2022년 개통됐으나 줄곧 세금 낭비 논란이 일었다. 이용률이 현저히 떨어지는 데다, 당초 목적이었던 일대 활성화도 저해한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기 때문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공중 보행로 전 구간의 일평균 보행량(2022년 10월~2023년 10월)은 1만1731건으로 공사 전 예측량(10만5440건)의 11%에 그쳤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2021년 11월 서울시의회 시정 질문 답변에서 "대못"이라고 표현했을 정도로 이 보행로에 대해 안타까움을 표하기도 했다. 건축계에서는 이 보행로로 "강북이 20년 뒤처졌다"는 지적도 나왔다.
앞서 서울시는 지난 7월 돈의문 박물관 마을 철거 계획을 밝혔다. 철거 계획은 내년 하반기로 거론된다. 2017년부터 지금까지 이 마을 공사비와 위탁 운영비로 들어간 세금만 약 480억원에 달한다. 이 또한 박 전 시장의 도시 재생 사업 중 하나였다. 옛 골목을 재현해 공방, 갤러리 등이 들어섰으나 줄줄이 문을 닫으면서 특히 팬데믹 이후부터 '유령 마을'이라는 오명을 썼다.시는 돈의문 복원 구상을 밝히고 돈의문 박물관 마을을 2026년까지 공원으로 만들고 장기적으로 새문안로를 지하화한 뒤 돈의문 복원을 추진하겠다는 계획이다.
시의 이번 결정으로 '오세훈표' 녹지생태도심 프로젝트는 더 탄력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관건은 현재 남아있는 상인들의 반발이다. 세운상가협의회 측은 영업에 지장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보행로 철거에 난색을 보인 바 있다. 돈의문 박물관 마을에서 영업 중인 일부 점주들은 시에 계약갱신을 요구하는 내용증명을 보내는 등 퇴거 요청에 불응하겠다는 의사를 전하고, 시는 상인들이 계약만료 후에도 나가지 않고 버틴다면 행정 처분하겠다는 입장이어서 법적 다툼이 예고된 상황이다.
신현보 한경닷컴 기자 greaterfoo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