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日 경제안보 파고드는 中 헬스케어 앱
입력
수정
지면A10
세계적으로 빠르게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 헬스케어 앱을 향한 경계심이 확산하고 있다. 스마트폰에 있는 헬스케어 앱을 통해 미국·일본 등 주요국의 건강 관련 민감 정보가 중국으로 흘러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중 대립 격화로 더는 경제와 안보를 분리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스마트폰에 들어간 중국 헬스케어 앱의 빠른 성장을 주목했다. 알리바바그룹 헬스케어 자회사의 알리헬스 앱과 중국의 원격 의료 플랫폼 핑안굿닥터 등이 대표적이다.일본은 스마트폰 이용자 2명 중 1명꼴로 헬스케어 앱을 사용한다. 미국은 성인 3분의 2가량이 최근 1년 동안 헬스케어 앱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는 “정신질환 등 민감한 건강 관련 정보까지 브로커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며 “헬스케어 앱의 편리함 뒤에 숨어 있는 다양한 위험성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미·중 대립 격화로 더는 경제와 안보를 분리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며 스마트폰에 들어간 중국 헬스케어 앱의 빠른 성장을 주목했다. 알리바바그룹 헬스케어 자회사의 알리헬스 앱과 중국의 원격 의료 플랫폼 핑안굿닥터 등이 대표적이다.일본은 스마트폰 이용자 2명 중 1명꼴로 헬스케어 앱을 사용한다. 미국은 성인 3분의 2가량이 최근 1년 동안 헬스케어 앱을 쓴 것으로 나타났다.
니혼게이자이는 “정신질환 등 민감한 건강 관련 정보까지 브로커를 통해 거래되고 있다”며 “헬스케어 앱의 편리함 뒤에 숨어 있는 다양한 위험성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