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SB 사무총장 "금융 안정 위해 집값·가계부채 고려하는 한은 높이 평가"

"가계 부채 늘어나는 건 세계적 현상"
"금융 기관 자본 확충 충분한지 점검해야"
존 쉰들러 금융안정위원회(FSB) 사무총장이 4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금융 안정의 중요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제공
존 쉰들러 금융안정위원회(FSB) 사무총장(사진)이 "한국은행이 금융 안정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부동산 가격과 가계부채를 중요한 변수로 보고 있다는 점에 대해 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존 사무총장은 4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2024 세계 경제와 금융안정 콘퍼런스' 기자 간담회에서 '한은의 통화정책 방향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취지의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고물가가 점차 누그러지면서 기준금리(연 3.5%)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지만, 한은은 지난달까지 역대 최장 13차례 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기준금리 인하가 자칫 부동산과 금융 시장의 불안을 부추길 위험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존 사무총장은 "가계부채에 대해 상환이 이뤄지고 있다면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면서 "다만 금융과 경제 사이클 변동으로 상환하지 못하는 비율이 높아지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채 비율이 높아지는 것은 한국만의 문제는 아니라 세계 대부분 국가의 공통적인 상황"이라면서 "중요한 점은 가계부채의 채권자가 누구인지 잘 확인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예컨대 은행 대출이 많다면 은행들이 미상환 위기가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자본 확충을 충분히 해두고 있는지 점검해야 한다"고 했다.

존 사무총장은 세계 정치와 경제의 분절화에 대한 우려도 나타냈다. 그는 "FSB의 강점은 중앙은행, 규제당국, 재무부, 국제기구 등 다양한 회원을 보유하고 있고, 이들 사이에 효율적으로 합의가 가능하다는 점"이라면서 "하지만 분절화가 심화하면 다양한 기구 간의 합의가 어려워질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모든 회원국에서 합의가 이뤄진 사안도 세계 국가에서 이행돼야 하는데 그 또한 어려워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용 기자 yourpenci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