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창업자 이승건 "한국 핀테크시장, 4년 뒤 84조로 커질 것"
입력
수정
지면A4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세계 100대 유니콘 기업(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 비상장사) 가운데 핀테크 기업만 21개에 달한다. 유니콘 기업 다섯 곳 중 한 곳이 핀테크란 얘기다. 그만큼 금융 분야에서 혁신이 활발하게 이뤄진다는 뜻이기도 하다. 그러나 한국 내 핀테크 유니콘 기업은 금융 슈퍼 앱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가 유일하다. 금융 선진국에 견줘 비교적 덩치가 작은 내수 시장과 과도한 금융 규제가 한국 핀테크 기업의 성장을 가로막는다는 인식이 퍼진 이유다.
기조발표
'韓 금융혁신 저조하다' 지적에
"현재 시장규모 58조 세계 4위"
20대 10명 중 9명이 토스 사용
국내 수익구조 만든 후 해외로
이주완 메가존클라우드 대표
국내외 7000개 기업에 서비스
"AI와 선순환…年 19%씩 성장"
이승건 비바리퍼블리카 대표는 10일 ‘코리아 인베스트먼트 위크(KIW) 2024’에서 이런 지적에 나름의 반론을 제기했다. 그는 “한국 핀테크 시장은 넓게 보면 미국 중국 일본 다음으로 크다”며 “작게 보더라도 세계 12위로 영국과 맞먹을 정도니 결코 작은 시장은 아니다”고 잘라 말했다. 한국 핀테크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58조원으로 추정된다. 2028년에는 44.8% 늘어난 84조원에 육박할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이 대표는 “한국은 핀테크 기업이 해외 진출을 위해 기초체력을 키울 수 있는 시장”이라며 “토스도 국내에서 탄탄한 수익 구조를 만든 뒤 해외 진출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규제와 관련해서는 “한국만큼 정부가 금융 혁신을 주도하는 나라도 없다”며 “한국의 금융 규제가 기업가치를 떨어뜨린다고 꼭 말하기도 어렵다”고 답했다.
토스 “국민 필수 서비스로 진화”
이 대표는 이날 ‘딥테크 앤드 엔터테인먼트’ 세션에서 ‘지속 가능한 금융 혁신을 위한 토스의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토스는 월간활성이용자(MAU)가 1900만 명으로, 국내 금융 앱 가운데 가장 많다. 특히 20~40대 가입자 비중이 높다. 이 가운데 20대 가입자는 약 561만 명으로, 한국 전체 20대 인구의 93%를 차지한다. 이 대표는 “최근에는 신규 가입자 대부분이 50대”라며 “7~18세 미성년자로 가입자를 확대하는 등 토스가 국민 필수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고 했다.토스는 초창기 빠르고 간편한 송금 서비스 등으로 고객을 확보하는 데 집중했다. 이어 토스페이, 대출 중개, 증권 거래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다. 상거래와 광고 등으로 추가 수익 창출을 노리고 있다. 전체 수익의 90%가 기업 간 거래(B2B)에서 나온다는 설명이다. 토스는 토스증권을 선보인 지 한 달 만에 200만 증권계좌 개설 기록을 달성했다. 토스뱅크 역시 문을 연 지 3주 만에 예금 7조원을 유치했다. 이 대표는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을 때마다 기존 산업에서 볼 수 없던 속도로 성과를 냈다”며 “모든 금융 서비스를 한곳에서 해결하는 슈퍼 앱 전략이 통했다”고 말했다.
토스는 기업공개(IPO)를 준비 중이다. 토스의 기업가치는 15조~20조원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토스 매출은 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 대표는 “국민 30%가 토스를 이용하지만, 토스의 시장 점유율은 약 3%에 그친다”며 “앞으로 열 배에 이르는 성장 가능성이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메가존클라우드 “해외 진출할 것”
또 다른 국내 유니콘 기업으로 꼽히는 메가존클라우드의 이주완 대표는 클라우드가 기업 생태계에 필수적인 플랫폼으로 자리 잡을 것이란 진단을 내놨다. 메가존클라우드는 국내외 7000개 이상 기업에 클라우드 및 인공지능(AI)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분야에서 국내 최초로 유니콘 기업에 이름을 올렸다. 이 대표는 “클라우드 시장은 2029년까지 매년 약 19% 확대될 것”이라며 “특히 AI와 클라우드가 선순환을 이뤄 지속해서 발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메가존클라우드는 국내를 넘어 해외 시장을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메가존클라우드 매출은 1조4000억원에 달했다. 이 대표는 “지난해 650억원 규모이던 해외 시장 매출이 올해 1000억원을 넘길 것으로 예상된다”며 “해외 시장 성과를 통해 2026년까지 두 자릿수 성장률을 달성할 것”이라고 했다.
조미현/황동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