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에 제대로 물렸다"…20조 쓸어담았는데 '날벼락'
입력
수정
반도체에 세게 물린 외국인
○20조 폭풍 매수했지만 '손실'
1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외국인은 올들어 국내 주식시장에서 총 19조349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증시가 급락하기 전인 1~7월로 기간을 좁히면 외국인의 순매수 규모는 24조7437억원에 달했다. 그러나 올들어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는 각각 5.48%, 11.58% 하락했다.외국인이 국내 증시서 집중적으로 순매수한 기간(1~7월) 동안 자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두 종목에 집중적으로 투입됐다. 삼성전자를 10조7660억원, SK하이닉스를 1조7410억원어치 순매수했다. 특히 삼성전자 한 종목이 차지하는 비중은 43.5%에 달했다. 1~7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6.88%, 37.53% 상승했다. 그러나 지난달 초 미국 경기침체 우려와 함께 'AI 반도체 업황 고점론'이 본격적으로 대두되면서 두 회사 주가는 급락하기 시작했다. 삼성전자는 7월 고점 대비 약 24%, SK하이닉스는 약 35% 내렸다.
반도체주가 흔들리자 외국인은 지난달부터 지난 9일까지 삼성전자를 약 4조원어치, SK하이닉스는 1조4000억원어치 팔아치웠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상반기 매수했던 금액을 거의 다 매도했다. 그러나 올해 순매수액 기준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수액 잔고는 아직 6조7000억원이나 남아있는 상태다. 지난 3개월 간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수 평균가는 8만256원이다. 이날 종가는 평균가 대비 17.28% 낮다. 파생상품 시장을 제외한 주식 현물 시장에서 외국인은 큰 손실을 입었다는 얘기다.
○올해는 개인의 승리
반면 개인 투자자는 올 들어 국내 증시에서 약 2조5420억원을 팔아치웠다. 1~7월로 좁혀보면 9조3410억원을 팔았다. 이 기간(1~7월) 가장 많이 판 건 삼성전자(6조9640억원)다. 삼성전자 우선주(1조5760억원)도 순매도 3위를 기록했다. 2020년 코로나19 상승장에서 7~8만원대에 물렸던 개미들이 주가 반등세가 나오자 일제히 차익실현에 나선 것이다. 장이 상승할 때마다 국내 주식을 팔아치운 개인은 미국 증시로 떠났다. 올해 개인의 해외주식 순매수액은 95억9534만달러(12조8922억원)에 달한다. 나스닥 지수는 올 들어 14.35% 상승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그간 외국인의 수익률이 개인보다 월등하다는 게 불문율처럼 여겨졌지만 올해만큼은 예외"라며 "국내 증시서 20조원 가까이 사들인 외국인의 평가 손실이 커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올해 상승장에서 주식을 팔아치우며 차익실현에 나선 개인의 수익률이 더 높을 것"이라고 설명했다.연말까지 외국인이 국내 증시에서 손실을 만회하기엔 쉽지 않을 거라는 분석이 나온다. 10일 삼성전자는 장중 6만6000원까지 하락하며 52주 신저가를 다시 썼다. 전 거래일 대비 1.93% 하락한 6만62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개발 완료 시기가 반도체 호황기와 맞물리지 못하면서 반도체 업종이 상승할 땐 크게 오르지 못했다가 내릴 땐 동반 하락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다만 개인의 손실율도 연말에는 더 커질 수 있다. 급락장이 출현했던 8월 이후 개인은 국내 증시에서 6조7980억원어치를 순매수했다. 주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저가매수했다.
심성미 기자 smsh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