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에서 뭐하는 짓이냐" 분노…난리 난 '트꾸' 뭐길래 [이슈+]
입력
수정
미국 Z세대 '트레이 꾸미기' 열풍
소지품 반납 트레이 속 물건 찍어
보안 검색대 혼잡해져…누리꾼 뭇매
"SNS서 관련 게시물 1640만개"
TSA "유행 문제 없다…분실 주의"

미국의 한 틱톡 인플루언서가 '트레이 꾸미기 팁'이라는 제목의 영상을 통해 한 말이다. 영상에는 그가 공항 보안 검색대 앞에서 트레이 속 자신의 소지품을 촬영하는 모습이 담겨있다. 최근 미국에서 유행하는 이 트레이 촬영이 보안 검색 절차에 방해된다는 비판을 의식한 조언으로 풀이된다. 전 세계 공항이 엔데믹 이후 급증한 여행 수요로 붐비는 가운데, 최근 미국 젠지세대(Z세대·1990년대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 태어난 인구) 사이에서 '공항 트레이 꾸미기'(airport tray photo·트꾸)가 새로운 트렌드로 번지고 있다. 개인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방법이 다양해졌다는 의견이 있는가 하면, 공항의 보안 검색대를 혼잡하게 만든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왔다.

트레이에 소지품을 빠르게 던져 넣는 일반적인 방식이 아닌, 고가의 선글라스나 알록달록한 색감의 운동화나 향수 등을 깔끔하고 정교하게 배치해 이상적인 여행의 모습을 표현하는 것이 특징이다. 고가의 명품 지갑이나 가방을 촬영해 과시하는 목적도 있다.여행지가 연상될 법한 액세서리나 외투 등을 올려놓는가 하면 필름 카메라나 일기장을 올려 여행 방식이나 일상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드러내기도 한다. 수년 전부터 유명인들이 유튜브를 통해 자신의 가방 속 애장품을 소개하는 '왓츠 인 마이백'(What's in my bag) 콘텐츠가 큰 인기를 끈 것과도 비슷하다.
이달 초 영국 더 미러, 미국 뉴욕포스트 등 외신의 보도에 따르면 틱톡과 인스타그램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관련 해시태그로 올라온 게시물만 무려 1640만개에 달한다. 외신은 젠지세대들이 공항에서 보내는 긴 시간에 재미 불어넣었다고 평가했다.
CNN방송은 2018년 유럽의 한 연구 결과를 인용해 트레이의 위생 문제를 지적하기도 했다. 공항에서 세균이 가장 많은 곳이 트레이라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세균으로부터 자유롭고 싶은 여행객에게 이 공항 트렌드는 가치가 없다"고 꼬집었다.여러 불만들이 터져 나오자 급기야 미국 교통안전국(TSA)이 입장을 내놨다. TSA는 11일(현지시간) ABC뉴스를 통해 성명을 내며 "최근 이 유행을 인지하게 됐다"면서 "유행이 다른 승객에게 지장을 주지 않는 한 문제 될 것이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사진 촬영에 참여하는 동안 여권, 신분증 등 귀중품을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당부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