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통한 참새가 벼 위에 사뿐히… 가을을 여는 이도영의 '화조도'

[arte] 한국신사 유람일기

가을 분위기를 자아내는
관재 이도영의

예술 작품에 대한 대중의 관심은 높아졌지만
상대적으로 열외에 있는 한국화

우리 옛 그림을 즐기는 법은
그림 속에 담긴 이야기를 찾는 것
징글징글한 역대급 더위도 조금씩 고개를 수그리고 날카롭던 모기 입도 비뚤어지는 처서(2024년 8월 22일)가 지난 지도 한참이다. 이제 귀똘이들도 귀똘귀똘 소리내기 시작하니 바야흐로 가을의 시작이라 할 수 있으리라. 옛 선비들은 처서가 되면 여름 장마에 습기를 머금은 책을 하나 둘 꺼내 볕에 말리면서 서가를 점검하고 목록을 확인하는 포쇄[曝曬]를 통해 귀하디귀한 마음의 양식을 돌보았다. 오랜만에 선비 놀이 겸 구석에 넣어뒀던 옛 그림들을 꺼내 살피다가 화들짝 놀랐다. 아끼는 한국화 한 점이 올해로, 심지어 그날로 딱 백 살이 되었음을 알게 된 것이다.
이도영의 '화조도' / 사진. ⓒ한국신사 이헌
참새와 식물들이 유독 사랑스러운 이 그림을 지인의 방에서 발견하고 마음 앓이 하다 빼앗다시피 손에 넣은 이 <화조도>는 이 나라의 역사에 기록된 최초의 시사 만화가이자 전통의 화법을 유지하면서 서양식 화법을 도입하기 위해 비판적 시도를 아끼지 않았던 화가 관재 이도영 선생의 작품이다.
관재 이도영의 삽화
KIAF-프리즈도 성황리에 마무리되었으나, 투자와 감상의 어디쯤에 엉성하게 자리 잡은 거대 페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언제부턴가 그림에 대한 관심이 폭발적으로 커지면서 많은 사람이 예술 작품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지만, 상대적으로 관심 밖에 선 한국화의 자리는 참 초라하고 절대적으로 평가 절하된 것이 참으로 아쉽다. 그래서 소외된 우리 선현들의 그림에 관심과 애정을 갖기 시작하면서 모두가 조금 더 관심을 가질만한 한국화의 특징은 무엇일지 되뇌다가 나만의 소장기준을 세우고 한국화를 찾아보기 시작했다. 그 기준은 의외로 단순한데, 바로바로 ‘귀여움’이다.

시를 읊고 글도 쓰며 그림까지 그리던 과묵한 선비들도 실상은 귀여운 구석들이 조금씩 있었을 터... 문인화를 그리던 선비 중에도 세상 돌아가는 이치나 나라 안팎의 복잡다단한 문제들 말고 우리 주변의 깨알 같은 일상과 작은 새, 그리고 화초의 변화에 애정과 관심을 쏟던 분들도 계셨을 테다. 그런 분들의 덜 심각하고, 덜 중요한, 그러나 바라보면 빙그레 웃음이 지어지는 그런 한국화를 찾아왔다. 이런 그림들이야말로 친구들과 위스키 한잔 기울이며 안주 삼기도 좋을뿐더러 방향성 있는 컬렉션을 하던 부모(?)로 기억되는 특별함도 남길 수 있겠다 싶었다. 특히 그림을 펼쳐 놓고 어린 딸과 낄낄거리며 웃을 수 있다면 그 이상 좋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도 한몫하였다.
관재 이도영 선생의 &lt;화조도&gt; 속 참새
그런 생각에 그야말로 안성맞춤인 그림이 바로 이 작품 아닐까? 한눈에 들어오는 오동통한 참새 두 마리가 커다란 눈망울로 가느다란 벼과 식물에 매달려 있고 때마침 꽃망울을 틔운 가을 들꽃은 수수하게 빈 공간을 채워 확연한 가을 분위기를 자아내고 있다.아차차 우선 이 그림이 어떠한 연유로 딱 백 살이 되었는지를 먼저 밝히고 찬찬히 뜯어보는 게 좋겠다. 관재 선생께서 손수 쓰시고 낙관을 찍어둔 내용을 금석학에 조예가 깊은 가까운 형님께 문의하였다. ‘갑자하서전일관재자(甲子夏暑前日貫齋字)’, ‘갑자년 여름(夏) 처서(處暑) 전 날(前日) 관재(貫齋)가 쓰다’.
관재 이도영 선생의 &lt;화조도&gt; 속 선생이 직접 쓴 문구
60갑자에 근거해 갑자년의 연도를 확인해 보니 1924년임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제는 1924년의 처서 양력 날짜를 확인해 볼 차례! 8월 23일 토요일이었다. 한국신사의 포쇄[曝曬] 선비 놀이 날이 지난달 8월 22일이었으니 만 백 년이 되던 날 이 그림을 우연찮게 다시 살피게 된 것이다. 전신에 소름과 함께 기쁨이 샘솟는다. 아~ 그해 여름도 올해처럼 무더웠을까? 그 해 태풍은 언제 지났을까? 관재 선생 물놀이는 다녀오셨을지...? 시간 여행하는 기분으로 그림을 즐거이 더 살펴본다.
관재 이도영 선생의 &lt;화조도&gt; 속 꽃
이 백 살 된 그림이 귀엽게 느껴진 이유가 참새 때문만은 아니다. 하늘하늘 묘사된 들꽃으로 관심이 옮겨가면서 이 그림을 완상하는 재미가 더해졌다. 노란색 몽우리를 중심으로 가느다란 입이 옹기종기 모인 이 꽃은 국화를 닮아, 식물에 큰 관심이 없는 이들 사이에서는 그저 들국화라고 불린다. 오죽하면 시인 안도현은 이렇게 노래한 바 있다.
무식한 놈

쑥부쟁이와 구절초를
구별하지 못하는 너하고
이 들길 여태 걸어왔다니
나여, 나는 지금부터 너하고 절교다!
-안도현
[위부터] 쑥부쟁이와 구절초
실제로 꽃 모양이 비슷해 그저 들국화로 오해받는 쑥부쟁이와 구절초는 꽃 모양과 이파리가 다르고 꽃이 피는 시기도 다르기 때문에 그 차이를 아는 이들은 이 시에 고개를 끄덕이곤 한다. 또한 꽃 사랑 넘치는 분들이 수없이 이 시를 언급하여 우리에게 제법 익숙한 시다. 그러니 이 시를 처음 들어본 분들이라면 꽃 무식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겠다 (^^*).여하튼 이렇게 그림을 보다가 안도현의 시가 떠올랐고 이 그림이 그려질 때 관재 선생은 어떤 꽃을 묘사했을지 궁금해졌다. 구절초의 개화 시기는 조금 더 서늘해진 후라 늦여름 개화하는 쑥부쟁이일 가능성이 높겠다고 생각했지만 꽃도 이파리도 조금 큰걸 보니, 상대적으로 꽃이 작고 귀여운 외래종 미국쑥부쟁이가 아닌가 생각했다. 하지만 1950년 한국 전쟁 때 미군을 따라 들어온 귀화 식물일 가능성을 생각해 보면 그도 아닌가 싶어 식물도감을 한참 뒤져 본다. 그 해 유난히 정말 국화가 일찍 꽃을 피운 것은 아닌가도 생각해 보고, 뜻 밖에 고들빼기가 만개했을 때 비슷한 느낌인 듯도 하여 오랜만에 즐겁게 식물 유람도 해본다.
[위부터] 미국 쑥부쟁이와 고들빼기
우리 옛 그림, 이제 딱 백 살 된 귀여운 옛 그림에 담긴 풍성한 이야기는 컬렉션의 즐거움을 선사한다. 물론 지식을 갖춘 전문가가 명확하게 설명해주어도 좋겠지만, 국내 양대 옥션의 프리뷰를 이용하면 뜻밖의 정보를 어렵잖게 얻을 수도 있고, 조금만 발품을 팔면 온라인에 지천으로 넘치는 정보들도 거미줄처럼 엮인 채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그렇게 안목은 높아지고, 그 안목이 쌓이면 그림을 물려받을 자식에게도, 그리고 술친구들에게도 꽤나 인정받는 한국화 컬렉터로 아는 척도 좀 할 수 있으리라.

무엇보다 우리땅 한복판에서 열리는 미술 축제에 우리 그림들이 한중간은 아니더라도 어딘가에 또렷하게 자기 자리를 차지해 주면 어떨까 하는 바람을, 백 살 된 그림을 펼쳐놓고 주절거려 본다. 추사의 <세한도>나 교과서에서 본 저명한 작가의 그림이 아니라도 이런 추억과 이야기를 담은 조상들의 그림 한 점 살피며 희희낙락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이제 곧 구절초가 만개할 테니 몇 송이 꺾어다 꽂아두고 참새를 한 번 불러볼까 한다. 혹시 참새가 알려줄지도 모르는 일 아닌가..?

한국신사 이헌 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