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처6 대표 "기후테크 기업 키우려면 정부의 넷제로 프로젝트 필요"
입력
수정
캡처6는 대기에서 탄소를 제거하면서 동시에 깨끗한 물을 만들어내는 기업이다. 물을 만들고 남은 폐염수에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생성된 화학물질을 판매하며, 이 과정에서 정제된 물을 더 만들어낸다. 에릭 코헨콜 캡처6 대표는 기후테크 스타트업을 키우기 위해서는 정부의 넷제로 프로젝트가 필요하고, 이 과정의 인센티브 설계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한경ESG] 리더 - 글로벌 CEO 인터뷰
에단 코헨콜 캡처6 CEO기후 기술 중에서도 직접 탄소포집(Direct Air Capture, DAC) 기술은 가장 각광받는 미래 기술로 꼽힌다. DAC는 화학적·물리적 공정을 이용해 주변 공기에서 이산화탄소를 직접 추출하는 탄소포집 방법이다. 공기 중 탄소가 특수한 화학 매개체와 접촉해 포집되고, 포집된 탄소를 지층에 영구 저장하면 CO2를 성공적으로 격리할 수 있다. 탄소포집 및 활용·저장(CCUS)의 한 갈래로 볼 수 있지만, 주로 배출원에서 CO2를 추출하는 CCUS와 달리 일반 공기에서 포집해 대기 전체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감소시키기에 가장 이상적인 탄소제거(Carbon Dioxide Removal, CDR) 방법으로 여겨 ‘인공 나무(artificial tree)’라는 별명도 붙었다. DAC 시장은 최근 더 각광받고 있다. 산정 방식이 불투명하다고 평가받는 기존 자발적 탄소시장에서의 탄소 크레디트보다 직관적이기 때문이다. 구글이나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 기업은 자발적 탄소 거래를 통해 DAC 기업의 탄소 제거 크레디트(CDR Credit)를 1톤당 600달러에 구입해 DAC 시장이 성숙해지도록 돕고 있다. EU와 영국은 DAC 등 CDR 사업을 대상으로 표준을 만들어 제도권 배출권거래제에서도 거래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도 DAC를 ‘한국형 탄소중립 100대 핵심기술’로 선정해 기술개발을 지원하기로 했다.
캡처6(Capture 6)는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서 지난 2021년 에단 코헨콜 박사와 루크 쇼스 에너지 전문가가 창업했다. 캡처6의 6는 원소기호 6번 이산화탄소를 뜻한다. 에단 코헨콜 대표는 하버드대 출신 경제학 박사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를 거쳐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를 역임했다. 베가 이코노믹스라는 금융 컨설팅 회사를 창업 후 매각하고 두 번째 회사로 기후기술 스타트업인 캡처6를 세웠다. 에단 코헨콜 캡처6 공동창업자를 만나 캡처6, 그리고 DAC 시장의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다.
- 캡처6는 대기 중 탄소제거 시장에서 공기를 비롯해 ‘물’과 관련한 점이 독특하다. “캡처6는 대기에서 탄소를 저렴하게 제거하면서도 깨끗한 물 공급을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로 해수담수화 장치나 수처리 시설에서 깨끗한 물을 만들고 걸러내 남은 농축수(염수)에서 소금을 추출 후 전기분해를 통해 대기에서 CO2를 포집할 수 있는 용매로 사용하는 수산화나트륨(NaOH)을 만든다. 수산화나트륨은 공기와 접촉해 CO2를 잡아낸다. 전기분해 과정에서 환경적으로 농축수에 남은 깨끗한 물을 더 생성해 최대 75%까지 담수로 활용할 수 있다. 염산, 수소, 염소, 탄산염 등 추가로 생성된 다른 부산물은 재판매한다.”
- 구체적으로 설명해달라.
“농축수는 나노 여과, 이온 교환, 역삼투 및 양극성 막을 사용한 전기분해를 사용해 처리된다. 이 과정에서 수산화나트륨과 염화수소(HCl)로 분리되고, 수산화나트륨 용매는 공기 접촉기에서 대기 중 CO2와 반응해 탄산나트륨(Na2CO3)으로 변환된다. 광물탄산화라고 해서 탄산나트륨을 칼슘과 결합시키면 탄산칼슘을 만들어 지층에 저장할 수 있다.” - 구체적으로 취수 용량 단위 혹은 시간 단위에서 이산화탄소를 얼마나 포집할 수 있나.
“기본적으로 1톤의 탄소를 20∼50m3(큐빅미터)의 농축수에서 포집할 수 있다. 다만 어떤 농축수인지에 따라 다르다. 해수담수화 시설이나 하수처리장에서 나오는 농축수가 각기 다르다. 염분이 많으면 더 많은 포집을 할 수 있다. 포집 효율은 이용하는 시설의 용량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 담수화 시설은 하루 평균 5만∼10만m3의 담수를 관리한다. 계산해보면, 하나의 시설이 연간 최소 30만∼100만 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할 수 있다.”
- 어떻게 DAC 시장에 관심을 갖고 회사를 창업했나. “처음에는 금융 분야에서 창업해 10년간 사업을 하다 매각하고, 기후와 물 부족에 관심을 가지면서 DAC 관련 회사를 세웠다. 기후 환경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탄소제거 및 물 부족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을 개발하길 원했다. 탄소포집을 활용해 물과 부산물까지 관리하는 통합된 접근 방식은 캡처6가 유일하다.”
- 전 세계적으로 얼마나 사업을 확장했나.
“2021년 창업 이후 미국 캘리포니아, 호주, 뉴질랜드, 한국에서 제휴가 이루어지고 있다. 캘리포니아 남부의 팜데일시에서 두 달 전부터 하수처리장을 활용하는 실증 시설 착공에 들어갔고, 호주에서는 파일럿에너지라는 민간 회사와 제휴했다. 뉴질랜드에서는 국가 내 최초 DAC 설비 구축 사업을 실행한다. 한국에서도 한국수자원공사 및 부강테크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수자원공사의 충남 대산임해 해수담수화 시설에서 연간 약 1000톤의 탄소를 포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시설에 협력하는 형태가 많지만, 단독 신규 프로젝트도 계획 중이다.” - 한국에서는 어떤 성과를 보이고 있나.
“한국에서는 내년에 수자원공사의 해수담수화 시설에 적용할 탄소포집 장치인 모듈 착공을 계획 중이다. 아직 실제 포집하는 단계는 아니다. 해당 시설에 맞게 공정설계해 모듈을 붙이고자 한다. 이번 모듈 적용이 성공하면 향후 유사한 시설에 거의 그대로 재적용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얼마 전 경기도에서 열린 기후테크 콘퍼런스에 참여해 정부, 공공, 민간 인사들과 많은 이야기가 오갔고, 수자원공사에서 큰 관심을 보여 감사하게 생각한다.”
- 생성한 물과 부산물은 어디에 판매하나. 한국을 예로 든다면.
“추가로 생성된 물은 수자원공사에 재판매하고, 염산이나 수소, 탄산염 등 화학 부산물은 인근 대산산업단지의 고탄소 업종에 종사하는 공단에서 수입해 사용하고 있기에 그곳에 판매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 많은 회사가 구매하는 화학제품이 주로 고탄소 공정을 통해 만든 것이지만, 우리가 판매하는 상품은 넷제로 부산물이기에 주변 산업의 탈탄소화를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소제거권이나 부산물을 판매할 때는 사전판매나 장기구매계약식으로 해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 상업화된다면 어느 정도 규모까지 탄소포집을 늘릴 수 있나.
“광산업, 폐수처리장, 해수담수화 사업장 등 전 세계에 있는 농축수는 매년 미국 플로리다를 1피트(약 30cm) 깊이로 잠기게 할 만큼 많다. 농축수가 많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기술을 활용하는 탄소포집의 가능성도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물이나 농축수 처리 관련 사업, 화학물질 사업은 각각 몇십 조 단위에 달하는 시장이다.”
- 사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운 점은 무엇이었나.
“투자자와 파트너를 찾는 것이 가장 어렵다. 특히 최근에는 DAC 방식의 탄소포집이 비싸다는 인식이 있는데, 탄소포집이 돈을 벌게 한다는 생각이 중요하다. 비용으로 생각하고 있기에 인식을 바꾸기란 쉽지 않다. 우리를 이해하는 파트너와 투자자를 발굴해야 한다. 담수화나 하수처리장처럼 프로젝트와 연관된 파트너뿐 아니라 엔지니어링 설계까지 협력해야 하는 파트너가 있어 폭넓게 보고 있다.”
- MS나 구글 등 빅테크 기업이 탄소제거권을 사들이며 탄소제거권 시장을 창출했는데, 아시아에서는 이런 움직임이 덜한 것이 사실이다.
“아시아는 탈탄소가 쉽지 않은 제조업 기반이다. 그러다 보니 CDR 등 프로젝트의 필요성이 높다. 일반적으로 CDR이 가격 측면에서 싸지는 않다. 우리는 이미 있는 시설에 모듈을 활용해 붙이는 방식이라 초기 비용이 높지 않으며, 이 같은 방식을 통해 저렴하게 크레디트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와 함께 아시아 시장에는 다양한 수처리 시설이 있다. 미국에서는 CDR 크레디트만 구매한다면, 아시아에서는 CDR과 함께 본인들의 수처리 시설에 접목하는 방식으로 수요를 창출할 수 있다.”
- 한국 시장은 제조업 기반 구조나 재생에너지 확보 측면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한국에 제언을 한다면.
“첫째, 정부의 큰 넷제로 프로젝트가 필요하다. 기후테크 스타트업은 프로젝트 기술과 관련한 초기 리스크가 있는데, 이를 정부 과제를 통해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는 기술개발을 사업화하는 데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다. 탈탄소 사업에 이런 보조금이 지원되고, 정부와 민간기업의 협력 펀드 등이 인센티브가 될 수 있다. 정부 과제를 통해 초기 리스크를 정부에서 경감할 수 있게 도와주고 민간에서 받아 사업을 키울 수 있는 선순환이 중요하다. 정부가 하는 작은 인센티브는 임팩트가 크다. 둘째, 한국 상황에 맞는 해결책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아시아는 미국과 산업구조가 다르다. 주로 고탄소 업종이다 보니 민간기업의 기존 사업에 DAC라든지 다양한 탈탄소 방식을 통합하는 방식이 필요하지 않을까 한다. 또 풍력이나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정부와 민간이 기존 시설을 이용해 신재생에너지 사업이나 탄소포집을 하는 데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구현화 기자 kuh@hankyung.com │ 사진 서범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