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도, 취업 준비도 안하고…"3년째 그냥 쉽니다" 8만명
입력
수정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 중 직업 교육받거나 취업 준비를 하지 않고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이 8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이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2000명(34.2%)이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 이상이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활동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1000명) 등이 뒤를 보았다.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의 비중은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다.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비중이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들 중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에서 1년∼2년 미만일 때 50.8%, 2년∼3년 미만일 때 45.1%, 3년 이상일 때 34.2%로 점차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취업을 위한 활동은 구직활동과 직업 훈련,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도서관·학원을 다니는 비율 등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2000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5만4000명, 2019년 6만4000명과 비교하면 절댓값으로도 여전히 많은 숫자다. 청년층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더욱 빠르다는 지적이다.
취업을 원하고 할 수 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고 있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 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였다.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사회 활동이 현저히 줄어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 힘들거나, 제한된 공간에 자신을 스스로 가둔 '고립 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도 내놨다. 그렇지만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가 심화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
19일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 15세부터 29세까지 청년층 부가 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최종 학교를 졸업(수료·중퇴 포함)했으나 3년 이상 취업하지 않은 청년은 지난 5월 기준 23만8000명이었다. 이는 코로나19 이후 최근 3년(2022∼2024년) 중 가장 큰 수치다.이들 중 주된 활동으로 '집 등에서 그냥 시간을 보냈다'고 응답한 청년은 8만2000명(34.2%)이었다. 3년 이상 장기 미취업 청년 3명 중 1명 이상이 직업 훈련이나 취업 시험 준비, 구직활동 등을 하지 않고 그냥 시간을 보냈다는 의미다. '취업 관련 시험 준비를 했다' 28.9%(6만9000명), '육아·가사를 했다' 14.8%(3만5000명), '진학 준비를 했다' 4.6%(1만1000명) 등이 뒤를 보았다.
미취업 기간별로 봤을 때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의 비중은 3년 이상일 때가 가장 높았다. 그냥 쉬었다는 응답은 미취업 기간이 6개월 미만일 때 20.5%에서 6개월 이상∼1년 미만일 때 26.4%로 상승했다. 1년 이상∼2년 미만에서는 20.6%로 비중이 줄었다가 2년 이상∼3년 미만은 30.3%, 3년 이상일 때 34.2%로 상승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 3년이 지나도록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면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이 늘어나는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이들 중 취업 준비를 했다는 대답은 6개월∼1년 미만일 때 54.9%에서 1년∼2년 미만일 때 50.8%, 2년∼3년 미만일 때 45.1%, 3년 이상일 때 34.2%로 점차 하락하는 흐름을 보였다. 취업을 위한 활동은 구직활동과 직업 훈련, 취업 시험 준비를 위해 도서관·학원을 다니는 비율 등을 합친 것을 의미한다.3년 이상 미취업 청년 중 집에서 그냥 쉰 청년은 2021년 9만6000명에서 2022년 8만4000명, 2023년 8만명으로 점차 감소하다 올해 8만2000명으로 늘며 증가 전환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8년 5만4000명, 2019년 6만4000명과 비교하면 절댓값으로도 여전히 많은 숫자다. 청년층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증가세가 더욱 빠르다는 지적이다.
취업을 원하고 할 수 있지만, 임금수준 등 조건이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할 것 같아 취업을 단념한 '청년 구직 단념자'도 증가하고 있다. 1∼5월 월평균 청년층 구직단념자는 12만179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10만8525명보다 약 1만1000여명 늘었다. 전체 구직단념자 38만7000명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은 31.1%였다.
정부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지난해 '쉬었음' 청년의 노동시장 유입을 위한 '청년층 노동시장 유입 촉진 방안'을 발표했다. 사회 활동이 현저히 줄어 긴급한 상황에서 도움을 받기 힘들거나, 제한된 공간에 자신을 스스로 가둔 '고립 은둔 청년'을 지원하기 위한 범정부 대책도 내놨다. 그렇지만 노동 시장의 이중 구조가 심화하고, 청년층이 원하는 양질의 일자리가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오는 상황에서 지원에만 초점을 맞춘 정책은 한계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김소연 한경닷컴 기자 sue12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