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금리 인하한 美…아시아·아프리카 신흥국도 동참하나

미국 중앙은행(Fed)의 기준 금리 인하를 계기로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국에서도 금리 인하 물결이 일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그동안 신흥국들은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인하할 경우 자국 통화가 약세를 보일 것을 우려해 금리 인하를 주저했다면, Fed의 ‘빅컷’(기준금리 0.5%포인트 인하)을 확인한 지금은 신흥국이 금리 인하 행렬에 동참할 수 있다는 예상이다.

주저했던 신흥국, 금리 인하 나설까

18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Fed의 기준 금리 인하 이후 신흥국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WSJ은 “Fed의 금리 인하는 자국 경제 성장을 우려했던 해외 중앙은행에 안도감을 줬다”며 “금리 인하를 보류하고 있던 인도, 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신흥국이 금리 인하를 단행하도록 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유로존, 영국, 캐나다 등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은 올해 들어서 금리 인하에 나섰지만 신흥국은 ‘관망’의 태도를 취했다.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내리면 자국 통화가 약세로 전환해 수입품 가격이 오를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는 새로운 인플레이션 압력을 촉발할 수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는 최근 고객들에 보낸 서한에서 “대부분의 중앙은행은 아마도 임박한 Fed의 금리 인하를 환영할 것”이라고 내다보기도 했다.

제이슨 투비 캐피털 이코노믹스 경제학자 역시 “Fed의 금리 인하는 (신흥국) 정책 입안자들에게 통화가 그들의 행동(금리 인하)만으로 추가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안도감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국 금리 인하 현황(사진=WSJ 캡처)
남아프리카공화국 중앙은행(SARB)은 Fed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다음 날인 19일 금융통화위원회를 앞두고 있다. WSJ은 미국의 금리 조정이 이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SARB는 지난 8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8.25%로 유지하며 7차례 연속 동결 결정을 내렸다.아시아에도 금리 인하를 할 만한 국가들이 남아있다고 WSJ은 전했다. 인도네시아 중앙은행은 이미 Fed FOMC에 앞서 먼저 금리 인하를 발표했다. WSJ은 “아시아 지역은 다른 지역에 비해 인플레이션 상승률이 가파르지 않았고, 중앙은행의 긴축 정책도 상대적으로 약했다”며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고 Fed의 금리 인하로 인해 통화 가치 하락 위험이 줄어들면서 이들 역시 금리 인하에 나설 것”이라고 예상했다.

JP모간 경제학자들은 인도 중앙은행이 다음 달 금리 인하를, 한국과 태국 중앙은행도 올해 말까지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고 예측했다.

유럽은 속도 조절, 브라질은 금리 인상

다만 선진국 중앙은행들은 Fed의 결정과는 독립적으로 금리를 조정할 전망이다. 유럽중앙은행(ECB)과 영국 중앙은행인 잉글랜드 은행(BOE)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글로벌 경제 상황이나 환율에 대한 우려보다는 임금 상승 속도와 노동 시장의 경직성에 대한 우려 때문이라고 WSJ은 짚었다. 필립 레인 ECB 수석 경제학자는 16일 연설에서 “앞으로 금리 제한을 완화하는 데에는 점진적인 접근이 적절할 것”이라고 밝혔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유럽중앙은행(ECB) 총재 / 사진=로이터연합뉴스
BOE는 19일 통화정책 결정 회의에서 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호주 중앙은행과 노르웨이 중앙은행도 금리 인하까지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입장이다.

미국과 달리 브라질은 2년 만에 다시 금리인상에 나섰다. 이날 브라질에서는 인플레이션 우려가 되살아나며 기준 대출(셀릭) 금리가 2022년 8월 이후 처음으로 인상됐다. 브라질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위원회(COPOM)는 만장일치로 금리인상을 승인하면서 경제와 노동시장이 예상보다 역동성이 크고 물가상승률도 여전히 높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중앙은행은 지난 13일 전쟁으로 급등한 인플레이션에 대응해 기준금리를 연 19%로 1%포인트 인상했다.브라질, 러시아와 같은 예외적인 상황을 제외하면 Fed의 금리 인하에 따라 대부분 국가에 금리 인하 청신호가 켜졌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루이지 스페란자 BNP파리바 수석 경제학자는 “Fed를 포함한 여러 중앙은행의 통화 완화 정책은 경기 침체를 피하기에 충분히 시의적절할 것”이라며 “우리의 기본 시나리오는 ‘연착륙’”이라고 강조했다.

한경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