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끝나자마자 이게 무슨 일"…삼성전자 개미들 '패닉' [한경우의 케이스스터디]
입력
수정
새로울 것 없는 '반도체 겨울' 타령인데…왜 충격 받았나
AI 거품론 및 반도체주 주가조정, 8월부터 이어져
목표가 반토막난 SK하이닉스…"겨울 와도 가장 돋보일 것"

다만 증권가에선 메모리반도체 시황 악화 전망이 이미 시장에서 힘을 얻은 상황에서 지난 15일(현지시간) 나온 모건스탠리 리포트는 새로울 게 없는 시각이란 평가가 나온다. 앞서 이같은 논리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가도 7월 중순께 고점을 찍은 후 크게 조정받은 상태다. 반도체 업계에선 모건스탠리의 보고서 내용에 대한 반박도 나온다. 고대역폭메모리반도체(HBM)의 공급과잉을 점치며 한국증시를 대표하는 기업에 대해서만 부정적으로 전망했다는 평가다. 일례로 모건스탠리는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HBM 공급 과잉 전망 등을 반영해 기존의 절반 이하로 내렸다. 그러나 SK하이닉스는 내년에 생산할 HBM 물량까지 엔비디아가 입도선매해놓은 상태란 점에서 과도한 우려라는 게 일부 전문가들의 평가다.
연휴 마치고 돌아오자마자 무너진 ‘반도체 투톱’

모건스탠리는 메모리반도체 시황이 악화한다는 전망을 한국 반도체 대형주 목표주가 하향의 배경으로 제시했다. 특히 SK하이닉스가 글로벌 최고 경쟁력을 자랑하는 HBM 분야에 삼성전자가 본격적으로 진입하면 공급과잉 상황에 빠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HBM이 들어가는 인공지능(AI) 가속기 수요 증가율의 큰 폭 둔화도 점쳤다.
모건스탠리의 이번 보고서가 큰 관심을 끈 배경은 이 증권사가 △3년 전 '겨울이 온다'(Winter is Coming)는 제목을 단 보고서로 반도체 시황이 악화될 것이라고 비교적 선제적으로 전망한 점 △SK하이닉스 목표 주가를 반토막 이하로 대폭 하향한 점 등 두 가지다.
7월부터 나온 얘기 반복한 모건스탠리…이미 주가도 조정받아
증권가에서는 모건스탠리가 3년 전 내놓은 '겨울이 온다' 보고서는 반도체 시황 악화를 비교적 선제적으로 전망했지만, 이번 보고서의 논리는 그리 새롭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와 함께 '과도한 비관론'이란 평가도 뒤를 잇는다.우선 AI 가속기 수요 증가세가 둔화될 수 있다는 우려는 국내 증권사 리서치센터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주로 전략·시황을 담당하는 애널리스트들이 미국 빅테크기업들의 경우 막대한 투자의 성과가 나오지 않는 데 따른 주주들의 반발이 AI 투자에 제동을 걸 수 있다고 분석해왔다. 일례로 윤지호 LS증권 리테일부문 대표(전무)는 “내년부터는 빅테크기업들의 AI 투자 자산에 대한 감가상각으로 비용도 늘어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특히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이 7월24일(현지시간) 개최한 2분기 실적 설명 컨퍼런스콜에서 AI 투자에 따른 수익화 시점의 불확실성을 언급한 게 AI 테마의 가파른 조정을 촉발한 바 있다.글로벌 AI 테마 대장주 격인 엔비디아는 알파벳의 컨퍼런스콜이 진행된 날 6.8% 급락했다. 7월10일 134.91달러로 종가기준 고점을 찍었던 주가는 8월9일엔 98.91달러로 떨어져 100달러가 무너지기도 했다. 이후 엔비디아 주가는 회복세를 보이며 19일에는 117.87달러까지 회복했다.
반면 한국 반도체 대형주 주가는 회복하지 못하고 꾸준히 하락했다. 7월 말 종가와 비교하면 삼성전자는 한 달여 만에 24.91%, SK하이닉스는 19.27% 하락했다. 외국인 매도세가 주가 하락을 주도했다. 8월 들어선 후 지금까지 외국인은 삼성전자를 8조137억원어치, SK하이닉스를 1조7405억원어치 팔았다.
“SK하이닉스, 겨울이 와도 가장 돋보일 수 있어”
모건스탠리가 SK하이닉스 목표주가를 대폭 하향한 데 따른 반론도 많다. 증권가의 기존 반도체 업황 전망과 유사한 관측을 반복한 모건스탠리가 종목별 주가 전망은 시장의 흐름과 반대로 내놨기 때문이다.우선 반도체업계에선 모건스탠리가 근거로 제시한 ‘HBM 공급 과잉’이라는 말 자체가 현실과 거리가 있다는 반박이 나온다. HBM 영업은 만들어 놓은 재고를 파는 게 아니라, 주문을 받아 맞춤형으로 생산하기 때문이다.
SK하이닉스는 또한 HBM 생산 분야에서 경쟁력이 독보적이란 점을 들어 김 연구원은 부정적인 전망에 대해서도 반박했다. 그는 SK하이닉스에 대해 “설령 겨울이 오더라도 가장 돋보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 연구원은 “SK하이닉스는 경쟁사들에 비해 안정적인 공정 미세화로 성능과 제조 원가 측면에서의 우위를 지속할 가능성이 높다”며 “공정 난이도가 급등하고 경쟁사들의 개발 난조 소식이 난무하는 현재의 시기에는 귀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경우 한경닷컴 기자 ca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