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 하나에 추억과, 사랑과, 쓸쓸함을 담은 '윤동주 문학관'
입력
수정
[arte] 배세연의 스페이스 오디세이쉬이 꺾이지 않는 더위가 이어지고 있지만 하늘만은 높아져 가을이 왔음을 실감하게 한다.‘여기저기서 단풍잎 같은 슬픈 가을이 뚝뚝 떨어져 나뭇가지 위에 펼쳐진 하늘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눈썹에 파란 물감이 들 것’도 같다 (윤동주, 소년, 1939). 서울에서 이 하늘과 가까운 곳에 서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들게 하는 곳, 청운동 어딘가에 윤동주 시인의 문학관이 있다.
윤동주 문학관
▶관련 칼럼(자하문을 돌아 길가 외딴 우물에 윤동주문학관이 있습니다)별 하나에 추억과 사랑과 쓸쓸함과 동경을 노래하는 시 구절에 친숙함을 느끼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누군가는 '국민 시'가 아니냐고 했다. 시의 의도와는 별개로 곱씹으면 곱씹을수록 단순한 단어들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운 표현에 감상에 젖은 날도 있었다. 어려운 시대를 치열하게 살아낸 이 아름다운 시인에게 어울리는 공간이 무얼까, 라는 질문을 던진다면 다양한 공간들이 제안될 것이다. 지금의 윤동주 문학관은 과거에 사용되었던 수도 가압장을 그대로 활용하고 거기에 의미를 살려내는 방식으로 존재하고 있다.
약 174㎡ 정도의 작은 문학관은 세 개의 공간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인의 일생과 친필원고, 본가에서 건너온 우물목관 등의 전시를 통해 시인과 시인의 시를 전달하는 1전시관 (시인채), 수도 가압장의 물탱크를 그대로 활용하여 공간적 경험을 전달하는 2전시관 (열린 우물), 또 다른 물탱크를 보존하여 시인의 일생과 시를 영상을 통해 전달하는 3전시관 (닫힌 우물), 이렇게 세 공간이 전부이다.
2전시실은 물탱크의 천장을 없애 하늘로 열린 공간으로 조성하였고, 3전시실은 시인이 생을 마감한 후쿠오카 형무소의 독방을 형상화하여 한 줄기 빛만이 천장에서 내려오는, 사방이 닫힌 공간에서 시인의 일생을 조망하게 한다.물탱크들은 그대로 보존되어 물이 차올랐던 흔적들이 벽체에 그대로 남아있다. 이곳의 천장을 열어 하늘을 볼 수 있도록 조성한 곳이 시 ‘자화상’의 우물에서 모티브를 가져왔다는 이야기를 처음 들었을 때는 의도가 너무 직관적인 것이 아니냐 생각이 들었었다.그런데 키보다 한참 높은 벽에 에워 쌓여 주위의 모든 경관과 소리에서 차단되고, 오로지 하늘과 그 하늘의 한 곁을 차지하는 나무만 보이는 경관 속에 들어가 있자면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라는 자화상의(1939) 한 구절이 하늘에 절로 펼쳐진다. 그리고 하늘과 가까운 곳에 이 문학관이 자리하고 있는 것이 그렇게 다행스럽게 느껴질 수 없다.문학관이 되기 전 수도 가압장이었던 건물은 본래 1970년대에 청운아파트의 수도 공급을 위해 지어진 건물이었다. 지대가 높아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어진 이 건물은 청운아파트가 철거된 후 본래의 용도를 잃게 되었고, 방치된 상태로 오랜 시간을 견딘 후 2012년, 새로운 시대에 윤동주 문학관으로 새로운 역할을 얻게 되었다. 이러한 곳의 시간이 그대로 보존된 흔적, 물탱크였던 벽에 자글자글하게 남아있는 색 바랜 흔적을 가만히 보고 있으면 까닭 없이 이런 시의 구절이 벽 위로 차올라온다.
오늘도 기차는 몇 번이나 무의미하게 지나가고,오늘도 나는 누구를 기다려 정거장 가차운 언덕에서
서성거릴게다.
- 아아 젊은 오래 거기 남아있거라
윤동주 <사랑스런 추억>, 1942.
연희전문학교 재학시절 종로구 누상동에서 하숙을 했던 시인은 시상을 다듬기 위해 자주 산책 삼아 인왕산을 오르곤 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문학관을 시작점으로 청운공원으로 이어지는 이 길에는 ‘윤동주 시인의 언덕’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다.
시인이 살았던 어려운 시대와는 확연히 달라진 서울의 모습이 한눈에 펼쳐지기도 하는 곳이다. 시인을 기념하는 작은 공간에서 나와 이 경관을 바라보며 이어지는 길을 걷고 있으니 발밑에 또 이런 시가 지나가는 것이다.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 내일도...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윤동주 <새로운 길>, 1941.
배세연 한양대 실내건축디자인학과 조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