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이 산처럼 쌓였어요"…명절 끝나자 '야근 지옥'에 빠진 곳 [현장+]
입력
수정
연휴 끝난 재활용선별장 가보니"우린 명절이 제일 두려워요. 아무리 치워도 줄지 않으니까…"
처리 못한 쓰레기 산적·직원 퇴근 못해
"명절 식문화 과해…의식 개선 필요"
"과대 포장 규제뿐 아니라 소재 단순화 필요"
24일 오후 경기 성남시 분당구 재활용선별장. 성남시에서 발생하는 재활용 쓰레기가 모두 모이는 곳이다. 현장에서 만난 관계자는 "어제도 저녁 8시까지 야근했다"고 푸념했다. 명절 전후로 2~3주 동안은 쓰레기 발생량이 폭증해, 전 직원이 업무에 매진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전국 각지의 재활용선별장이 연중 가장 바쁜 시기로 꼽는 시기는 매년 설, 추석 연휴 이후 2~3주다. 명절 선물 포장재 등으로 쓰레기가 폭증해서다. 실제로 연휴 기간 발생하는 쓰레기도 증가하는 추세다. 환경부의 '추석 연휴 쓰레기 발생 현황'에 따르면 2019년 11만8412t(톤)이었던 전국의 추석 연휴 쓰레기는 지난해 19만8117톤으로 5년 사이 67% 증가했다.
"명절 후 3주는 무조건 야근"
성남시 재활용선별장은 하루 120톤의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한다. 스티로폼, 플라스틱, 비닐, 유리병 등을 소재별로 분류하고 가공 업체로 운반하기 쉽게끔 압축하는 것이 이들의 업무다.명절 이후 눈에 띄게 늘어나는 쓰레기는 스티로폼이다. 김영호 재활용선별장 운영소장은 "추석 연휴 전후로 2주 동안 스티로폼 수거량이 평상시의 10배가량으로 늘어난다"며 "하루 최대 처리물량이 4톤이라 명절이 지나면 스티로폼 압축기 앞으로 '스티로폼 산'이 생긴다"고 설명했다.스티로폼의 경우 선별장에서 50분의 1 부피로 압축된다. 이후 가공 업체가 수거해 스티로폼 원료로 재활용한다. 다만 음식물이 묻어 있는 쓰레기는 재활용되지 못한다. 관계자는 "선별장에 들어오는 쓰레기 중 15%가량은 일반폐기물로 분류돼 소각 처리된다"고 전했다. 테이프나 송장, 음식물, 아이스팩 등이 그대로 담긴 채 들어오는 폐기물도 많아 재활용이 어렵고, 스티로폼 외에도 빨대 등 자잘한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렵다는 설명도 덧붙였다.명절 이후에는 주거지에서 선별장으로 쓰레기를 나르는 수거차량도 바쁘다. 현장 관계자에 따르면 명절 이후 수거차량이 선별장으로 들어오는 횟수만 하루 700회가량이다. 평상시의 2배 수준이다. 수거원들은 오후 2시가 퇴근시간인데, 이날 3시께에도 연장 근무하는 수거차량들이 계속 선별장으로 들어오고 있었다.50여명의 선별장 직원들은 명절 연휴도 이틀밖에 쉬지 못했다. 당분간 전 직원이 주 6일, 52시간 법정 근무 시간을 꽉 채우고, 외부 인력의 도움까지 받아야 쓰레기를 감당할 수 있다는 게 이들의 설명이다.
명절 쓰레기 줄어들지 않는 이유
명절 쓰레기가 늘어나는 이유와 관련, 박석순 이화여대 환경공학과 교수는 "명절 기간 음식을 넉넉하게 만드는 식문화가 남아 있는 가운데 국민들의 생활 수준까지 오르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한 것"으로 진단했다. 명절 기간 식품 선물·음식 배달 주문 문화가 발달하면서 쓰레기 발생량이 더 늘었다는 설명이다.박 교수는 "생활 양식과 수준이 달라졌는데도 식문화만 수십 년째 그대로"라며 "과대 포장 규제도 필요하지만 명절 식문화 자체를 간소화하려는 의식적인 노력도 수반돼야 한다"고 제언했다.실제 한국환경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설날 및 추석 명절 기간 전국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양은 평소보다 20%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 바 있다.환경부는 지난 4월 포장재를 줄이기 위해 포장 내 빈 공간 비율을 50% 이하로, 포장 횟수는 1회 이내로 정한 '제품의 포장 재질·포장방법에 관한 기준 등에 관한 규칙'을 시행했으나, 2년 동안 계도 기간을 두기로 해 당분간 택배 포장의 간소화는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소재의 단순화가 이뤄지면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도움 될 것이라고도 제언했다. 김 운영소장은 "쓰레기가 재활용되려면 소재별로 분류하는 작업이 가장 중요하다"며 "예컨대 플라스틱의 경우 페트(PET), PP, PE, ABS 등으로 선별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러한 플라스틱 소재가 너무 다양해 재활용 측면에서 번거로운 부분이 있다"고 설명했다.
김영리 한경닷컴 기자 smart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