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면·맥주·아이스크림·어묵…쌀로 만든 가공식품이 뜬다
입력
수정
지면C1
'글루텐 프리' 바람에 밀가루 대체할쌀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밥쌀용 쌀 소비는 갈수록 줄고 있지만, 간편식 수요 증가 등으로 인해 쌀 가공식품 시장은 급성장하는 추세다. 정부가 가공용으로 개발해 보급 중인 가루쌀(분질미)이 쌀 가공산업 성장의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식품·외식업계도 앞다퉈 가루쌀로 만든 제품을 내놓고 있다.
건강한 우리 식재료로 주목 받아
농심 '별미볶음면 매콤찜닭맛'
신세계푸드 '라이스 베이스드'
CJ제일제당 '비비고 우리쌀 만두' 내놔
성심당·런던베이글, 가루쌀 빵 판매
SPC삼립 신제품 네 종 출시 계획
통계청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은 작년 56.4㎏으로 10년 전인 2013년(67.2㎏)보다 10㎏ 넘게 감소했다. 1인당 쌀 소비량은 1985년부터 39년간 매년 줄었다. 같은 기간 쌀 생산량은 442만t에서 370만t으로 19.5% 감소했다. 생산 감소보다 소비 감소 속도가 더 빨라 만성적인 쌀 공급 과잉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정부는 쌀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고 수입산 밀을 대체하기 위해 가공에 적합한 쌀 품종인 가루쌀(품종명 바로미2)을 개발해 지난해 상용화했다. 2027년까지 가루쌀 생산량을 20만t으로 늘려 연간 밀가루 수요 10%를 대체한다는 계획이다. 가루쌀 재배 면적은 2022년 100㏊에서 지난해 2000㏊로 늘었다. 올해는 1만㏊까지 확대될 전망이다.
기존 밥쌀은 치밀한 전분 구조 때문에 물에 불려서 가공해야 했다. 가루쌀은 보통의 벼와 재배 방식은 유사하지만, 곡물 성질은 밀과 비슷해 물에 불리지 않고 바로 빻아 쓸 수 있다. 그만큼 제분 비용과 가공 시간이 덜 소요된다. 대규모 밀 제분 설비에 넣어 대량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가루쌀은 최근 ‘글루텐 프리’ 트렌드 확산으로 밀가루를 대신할 건강한 식재료로도 주목받고 있다. 가루쌀로 제품화된 쌀 가공식품은 각종 빵과 케이크, 면 종류, 맥주, 아이스크림, 튀김가루, 어묵 등 다양하다.
정부는 올해 ‘가루쌀 제품화 지원 사업’ 대상자로 식품·외식업체 30곳을 선정했다. 농심, 삼양식품, 하림산업, SPC삼립 등 식품 대기업과 성심당, 오픈런 열풍을 일으킨 런던베이글 등이 참여한다. 정부는 한 개 제품당 최대 3억원을 지원한다.이들 업체는 지난 6월부터 본격적으로 가루쌀 제품을 쏟아내고 있다. 농심은 가루쌀로 만든 건면 제품 ‘별미볶음면 매콤찜닭맛’을 선보였다. 신세계푸드도 가루쌀, 현미유 등 식물성 원재료로 만든 우유 대체 음료 ‘유아왓유잇 식물성 라이스 베이스드’를 출시했다. 성심당과 런던베이글은 가루쌀 빵인 ‘초코미 마들렌’과 ‘단팥 쌀베이글’을 판매 중이고, SPC삼립은 가루쌀을 활용한 와플 등 신제품 네 종을 출시할 계획이다.오뚜기는 지난달 밀가루 대신 쌀가루로 만든 ‘비밀카레’를 내놨다. CJ제일제당도 가루쌀로 만든 ‘비비고 우리쌀 만두’를 선보였다. 편의점 세븐일레븐도 농촌진흥청, 고래사어묵과 최근 업무협약을 맺고 바로미2를 활용한 어묵을 출시하기로 했다.
쌀 가공식품 시장 확대와 정부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 지원으로 쌀 가공식품은 수출 효자 품목으로 떠올랐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쌀 가공식품 시장 규모는 2018년 6조3000억원에서 2022년 8조4000억원으로 4년 새 33%가량 커졌다. 같은 기간 쌀 가공식품 수출액은 8900만달러에서 1억8200만달러로 두 배 가까이로 늘었다.
식품·외식업계는 가루쌀 소비를 늘리려면 공급 가격을 지금보다 더 낮춰야 한다고 지적한다. 가루쌀은 1kg당 2000원대로, 수입산 밀가루(1kg당 1000원대)보다 두 배가량 비싸다. 농심 별미볶음면은 할인점에서 신라면(780원)보다 두 배 넘게 비싼 1980원에 판매되고 있다.공급량 예측이 어려워 섣불리 신제품 개발이 망설여진다는 업체들도 있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높은 공급가도 부담이지만 더 큰 문제는 물량 확보의 불확실성”이라며 “확보할 수 있는 가루쌀이 많지 않아 한정판 위주로 제품을 내놓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헌형 기자 hh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