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년대생 은퇴 본격화…"내 연금을 지켜라" [투자의 재발견]
입력
수정
투자의 재발견※ 한국경제TV는 급변하는 투자환경 속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인사이트가 가득한 고품격 투자 콘텐츠, 을 매주 금요일 오후 5시 방송합니다.한국 경제의 주축이었던 1960년대생들의 은퇴가 본격화됐습니다. 베이비붐 세대보다 더 큰 86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6.4%를 차지하는 최대 인구집단입니다. 이들의 은퇴로 우리나라 2025년 초고령 사회에 진입합니다. 65세 이상의 고령자 인구가 총 인구 중 20%를 넘게 차지하고, 오는 2070년에는 2명 중 1명이 65세 이상이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이들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은 '마처 세대'입니다.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를 뜻하는 말입니다. 아이와 부모를 동시에 부양해야하는 경제적 부담 속, 자신들의 노후는 얼마나 준비되었을까요?
860만 은퇴 쓰나미…초고령 사회 진입
"적정 생활비의 70% 최소 확보해야"
연금 '3+1'구조…'저축의 스텝업' 필요
27일 에서는 경제학자이자 국내 최고 '은퇴 전문가'로 꼽히는 김경록 박사(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과 함께 '저성장 시대, 노후 소득을 지키는 투자법'을 짚어봤습니다. ● 한달 생활비 약 330만원…5060대 자산 평균 5억은퇴 후 안정적 생활을 위해 필요한 자산은 어느 정도일까? 김 박사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서울의 2인 가구 평균 생활비가 약 330만원이고 적정 생활비의 약 70%를 최소 생활비라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장기적으로 성장률이 떨어지는 것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더 중요한 부분"이라며 "앞서 일본과 대만이 겪은 장기 저성장이 우리나라에도 예고되고 있다. 예금과 부동산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던 은퇴자산의 변화를 가져와야 할 때"라고 강조했습니다.
먼저 필요한 것은 은퇴를 바로 앞둔 50대의 '저축의 스텝업'이라고 말합니다. 생애주기를 보면 50대에 가장 소득이 많고, 이는 곧 지출 확대로 이어지는데, 김 박사는 "기업도 불황이 올 것 같으면 유보 자금을 늘린다"며 이 때 강제 저축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김 박사는 또 흔히 이야기하는 연금 3층 탑(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에 하나를 더 쌓을 수 있다며, 주택연금을 주목했습니다. 그는 "우리나라 가계의 특징이 현금은 없는데, 자산 중 집의 비중이 큰 것"이라며 "점차 길어지는 수명 속 75세 이후 삶을 생각했을 때 주택연금으로 '투자를 하지 않아도 나오는 소득'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소득공백기 대비, 배당주·리츠 등 현금흐름 확보
연금계좌 속 투자에 대해서는 상품을 단순화할 것을 조언했습니다. 타겟데이트펀드(TDF)나 적격 디폴트 상품으로 자신의 투자 성향, 위험 비중 등을 정한 뒤 잊어버리는 것이 더 낫다는 것입니다. 40대는 적극적인 투자에 나서야겠지만, 60대는 인컴, 은퇴소득을 만들 수 있는 자산 확보가 중요합니다. 그리고 김 박사는 "40~60대를 통틀어서 장기적으로 견고한 코어(핵심) 자산이 무엇인지 고민해야 한다"며 "예금과 부동산보다 글로벌 초우량 자산을 편입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연금은 축적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바로 잘 인출하는 것입니다. 시간적인 순서도 중요하고, 연금 인출 시 감안해야 할 리스크도 있습니다. 김 박사는 "60대 전후 소득 공백기에는 개인연금을 활용하고, 65세부터 국민연금을, 주택연금은 빨리 받으면 금액이 적은 만큼 70대 중반부터 활용하면 좋다"고 말합니다. 또 연금을 받을 때에는 물가와 수명 예측 오차, 투자 종류에 따른 수익률을 고려해 순서를 고민하라고 조언했습니다.※ 전체 내용은 다음 링크를 통해 한국경제TV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DrWkt7WciPU
조연기자 ycho@wowtv.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