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백수'…외환위기 수준 악화
입력
수정
반년 이상 장기실업자 11만3천명…6개월째 증가
직장 도중에 그만둔 이유 '시간·보수 불만족' 가장 많아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활동을 했으나 여전히 일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이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반년 이상 직장을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 수는 최근 6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실업자 수는 56만4천명이었다.
이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천명으로 20.0%를 차지했다.이는 전월을 통틀어 외환위기 여파가 있던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명을 웃돌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해 대체로 10만명을 밑돌았다.
장기 실업자 수는 올해 3월부터 늘기 시작해 지난 8월까지 6개월째 증가했다.지난 7월까지는 전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전체 실업자 수는 지난 7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로 전환해 두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체 실업자는 줄어드는데 장기 실업자는 늘면서 이들 비중이 가파르게 높아진 것이다.[표] 구직기간별 실업자 추이 (단위: 천명, %)
┌────┬───────────┬────────────────┐
│ 시점 │ 전체 │ 6개월 이상 │
│ ├─────┬─────┼─────┬─────┬────┤
│ │ 원데이터 │ 증감률 │ 원데이터 │ 증감률 │ 비중 │
├────┼─────┼─────┼─────┼─────┼────┤
│2024.08 │ 564│ -1.6│ 113│ 6.2│ 20.0%│
├────┼─────┼─────┼─────┼─────┼────┤
│2024.07 │ 737│ -8.7│ 91│ 17.7│ 12.3%│
├────┼─────┼─────┼─────┼─────┼────┤
│2024.06 │ 857│ 6.2│ 103│ 30.8│ 12.0%│
├────┼─────┼─────┼─────┼─────┼────┤
│2024.05 │ 884│ 12.3│ 97│ 61.8│ 11.0%│
├────┼─────┼─────┼─────┼─────┼────┤
│2024.04 │ 885│ 10.0│ 84│ 10.0│ 9.5%│
├────┼─────┼─────┼─────┼─────┼────┤
│2024.03 │ 892│ 6.2│ 88│ 15.1│ 9.9%│
├────┼─────┼─────┼─────┼─────┼────┤
│2024.02 │ 915│ 2.8│ 77│ -19.7│ 8.4%│
├────┼─────┼─────┼─────┼─────┼────┤
│2024.01 │ 1,072│ 4.7│ 74│ 2.8│ 6.9%│
└────┴─────┴─────┴─────┴─────┴────┘
※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의 한 단면으로 해석된다.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구직 기간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중 이전에 직장을 그만둔 사유가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인 비율이 24.7%였다.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직장에 다니는 도중 그만둔 사유로는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는 '쉬었음' 증가와도 맥이 닿는 부분이다.
'쉬었음'에는 취업 의사가 없는 사람, 취업 의사가 있어도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직장을 찾지 않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지난 8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작년 같은 달보다 24만5천명(10.6%) 늘어난 256만7천명이었다.
이는 8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것이다.
실업률이 처음 1%대로 떨어졌으나, 고용의 질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의 이전 직장을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18.9%), 제조업(15.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7%) 등의 순으로 많았다.
도소매업은 온라인 가속화·무인화 등의 구조적 변화로 취업자 수가 지속 감소하고 있는 산업이다.
제조업은 수출 호조에도 고용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은 반도체가 호조의 중심이 되면서, 최근 취업자 수가 줄고 있다.이전 직장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44.8%), 임시근로자(36.3%), 일용근로자(13.3%)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합뉴스
직장 도중에 그만둔 이유 '시간·보수 불만족' 가장 많아실업자 5명 중 1명은 반년 이상 구직활동을 했으나 여전히 일을 구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이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가장 높은 것으로 반년 이상 직장을 구하지 못한 장기 실업자 수는 최근 6개월째 증가세를 보였다.
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실업자 수는 56만4천명이었다.
이중 구직 기간이 6개월 이상인 사람은 11만3천명으로 20.0%를 차지했다.이는 전월을 통틀어 외환위기 여파가 있던 1999년 8월(20.1%) 이후 25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6개월 이상 장기 실업자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10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증가세를 이어가며 10만명을 웃돌다가 이후 감소세로 전환해 대체로 10만명을 밑돌았다.
장기 실업자 수는 올해 3월부터 늘기 시작해 지난 8월까지 6개월째 증가했다.지난 7월까지는 전년 동월 대비 두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전체 실업자 수는 지난 7월부터 전년 동월 대비 감소로 전환해 두 달째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전체 실업자는 줄어드는데 장기 실업자는 늘면서 이들 비중이 가파르게 높아진 것이다.[표] 구직기간별 실업자 추이 (단위: 천명, %)
┌────┬───────────┬────────────────┐
│ 시점 │ 전체 │ 6개월 이상 │
│ ├─────┬─────┼─────┬─────┬────┤
│ │ 원데이터 │ 증감률 │ 원데이터 │ 증감률 │ 비중 │
├────┼─────┼─────┼─────┼─────┼────┤
│2024.08 │ 564│ -1.6│ 113│ 6.2│ 20.0%│
├────┼─────┼─────┼─────┼─────┼────┤
│2024.07 │ 737│ -8.7│ 91│ 17.7│ 12.3%│
├────┼─────┼─────┼─────┼─────┼────┤
│2024.06 │ 857│ 6.2│ 103│ 30.8│ 12.0%│
├────┼─────┼─────┼─────┼─────┼────┤
│2024.05 │ 884│ 12.3│ 97│ 61.8│ 11.0%│
├────┼─────┼─────┼─────┼─────┼────┤
│2024.04 │ 885│ 10.0│ 84│ 10.0│ 9.5%│
├────┼─────┼─────┼─────┼─────┼────┤
│2024.03 │ 892│ 6.2│ 88│ 15.1│ 9.9%│
├────┼─────┼─────┼─────┼─────┼────┤
│2024.02 │ 915│ 2.8│ 77│ -19.7│ 8.4%│
├────┼─────┼─────┼─────┼─────┼────┤
│2024.01 │ 1,072│ 4.7│ 74│ 2.8│ 6.9%│
└────┴─────┴─────┴─────┴─────┴────┘
※ 자료: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장기 실업자의 증가는 '일자리 미스매치' 현상의 한 단면으로 해석된다.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구직 기간도 늘고 있다는 것이다.
경제활동인구조사 마이크로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8월 기준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 중 이전에 직장을 그만둔 사유가 '시간·보수 등의 작업여건 불만족'인 비율이 24.7%였다.
'임시 또는 계절적 일의 완료'(26.4%)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것으로, 직장에 다니는 도중 그만둔 사유로는 가장 높은 비율이다.
이는 '쉬었음' 증가와도 맥이 닿는 부분이다.
'쉬었음'에는 취업 의사가 없는 사람, 취업 의사가 있어도 원하는 일자리가 없어서 직장을 찾지 않는 사람 등이 포함된다.
지난 8월 비경제활동인구 가운데 '쉬었음'은 작년 같은 달보다 24만5천명(10.6%) 늘어난 256만7천명이었다.
이는 8월 기준으로 통계 작성이 시작된 2003년 이후 역대 가장 많은 것이다.
실업률이 처음 1%대로 떨어졌으나, 고용의 질에 대해서는 의문을 제기할 수 있는 대목이다.
직장에 다닌 지 1년이 넘지 않은 장기 실업자의 이전 직장을 산업별로 보면 도소매업(18.9%), 제조업(15.9%),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13.7%) 등의 순으로 많았다.
도소매업은 온라인 가속화·무인화 등의 구조적 변화로 취업자 수가 지속 감소하고 있는 산업이다.
제조업은 수출 호조에도 고용 파급 효과가 크지 않은 반도체가 호조의 중심이 되면서, 최근 취업자 수가 줄고 있다.이전 직장을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근로자(44.8%), 임시근로자(36.3%), 일용근로자(13.3%) 등의 순으로 많았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