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도 금리 인하 가능성…예·적금 길게, 대출은 짧게

미국 Fed 빅컷 '피벗 사이클' 시작
한은도 연내 기준금리 인하 예상

예·적금 금리 내림세 가팔라질 듯
확정금리 상품·신종자본증권 유망
대출은 변동금리 선택이 유리
Getty Images Bank
미국 중앙은행(Fed)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0.5%포인트 내리는 ‘빅컷’을 단행하면서 피벗(통화 정책 전환) 사이클을 시작했다. 글로벌 금융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이 금리 인하 시대의 문을 본격적으로 연 것이다. 미국의 빅컷으로 글로벌 통화 정책이 ‘물가 안정’에서 ‘경기 침체 대응’으로 옮겨갈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 같은 수출국은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면 주식과 부동산 시장이 상승세를 띠는 경우가 많았다. 서울 등 수도권 집값 상승과 가계부채 급증 탓에 10월에도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하지만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관리 압박 속에 지난달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하면서 기준금리 인하 분위기가 조성됐다는 시각도 적지 않다. 본격적인 금리 인하를 앞두고 ‘예·적금은 길게 대출은 짧게’가는 전략을 가져가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한은도 기준금리 인하하나

Fed가 코로나19 사태 이후 4년6개월 만에 금리 인하에 나선 것은 인플레이션이 목표치(2%)에 근접하면서 통화정책을 경기 침체 대응으로 전환한 결과다. 미국의 8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대비 2.5% 올라 3년6개월 만에 가장 작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대신 노동시장 주요 지표인 비농업 부문 일자리 수는 8월 예상치(16만 건 증가)를 밑돈 14만2000건 증가에 그쳤다. Fed는 일자리 증가세가 ‘둔화했다’고 평가했다.

미국이 빅컷을 단행하면 당분간 자본시장의 혼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투자자들이 향후 경기침체 가능성을 우려하는 신호로 받아들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세계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사이클도 빨라질 전망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을 비롯해 캐나다 등 중앙은행 여섯 곳이 통화 정책 완화를 시작했다.

통화 정책 전환에 나서지 않았던 한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할지도 관심이다. 한은은 오는 11일 기준금리 결정을 위한 금융통화위원회 회의를 연다. 최근 안정된 물가와 부진한 내수 경기만 놓고 보면 기준금리 인하 전망에 무게가 쏠린다. 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등 5대 은행의 지난달 가계대출 증가액도 8월에 비해 절반 수준으로 떨어지는 등 당장 급한 불은 껐다.하지만 가계 대출이 수도권 집값 상승을 부추기는 상황에서 한은이 기준금리까지 내리면 부동산과 가계 부채의 불쏘시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이창용 한은 총재도 지난 8월 기준금리 동결 이후 간담회에서 “금융통화위원들은 한은이 과도한 유동성을 공급해 부동산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방식으로 통화 정책을 운용하지 않겠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달 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배경이다. 그럼에도 내수 침체를 감안해 더는 기준금리 인하를 미뤄선 안 된다는 의견도 있다.

예·적금은 길게…대출은 짧게

전문가들은 연내에 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만큼 예·적금 등 금융상품 만기는 장기가 좋다고 조언했다. 최정연 국민은행 강남스타PB센터 프라이빗뱅커(PB)는 “예·적금에 가입한다면 가급적 만기를 길게 잡는 게 좋다”며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시장금리 하락 여파로 갈수록 수신금리 내림세가 가팔라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당장 투자처가 있는 돈이 아니라면 확정금리형 저축성 보험이나 금융권 신종자본증권에 투자하는 것도 방법이다. 올해 발행된 금융지주사 신종자본증권 금리는 연 3.89~5.10%로 기준금리(연 3.5%) 수준인 5대 은행 정기예금(1년 만기) 금리보다 높은 편이다. 신종자본증권은 통상 발행 후 5년이 지나면 콜옵션을 행사해 투자자에게 자금을 돌려준다.대표적 안전자산인 채권과 금도 눈여겨봐야 할 투자처로 꼽힌다. 일각에선 채권과 금 모두 금리 인하 기대가 선반영돼 큰 폭의 수익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장윤서 하나은행 영업1부 PB센터지점 골드PB부장은 “미국 대선에 따른 불확실성과 침체 리스크가 남아 있어 연말까지 채권 투자 비중 확대 전략이 유효하다”며 “과거 미국의 첫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금융시장 흐름을 보면 주식보다 채권 가격이 우세(금리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대출을 받으려는 금융 소비자라면 주기적으로 금리가 달라지는 변동금리를 선택하는 게 유리하다. 현재 고정금리가 변동금리보다 0.5~0.6%포인트가량 낮기 때문에 당장 이자 비용을 줄여야 한다면 고정형(혼합형)·주기형을 택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최 PB는 “당장은 금리가 높더라도 6개월 혹은 1년 변동금리로 대출받은 뒤 금리 상황을 살펴보는 것도 방법”이라며 “변동금리에서 혼합형이나 주기형으로 대환하는 경우에는 중도상환수수료가 면제되는 만큼 금리 인하를 기대한다면 유리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김보형 기자 kph21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