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오류 추적하는 '서버 내비게이션' 뜬다

美 로그 분석업체 수모로직
아마존과 韓 데이터센터 설립

MS 대란 이후 수요 높아져
시스코·IBM·맥아피 등 경쟁
컴퓨터 기록을 관제하는 로그 분석 기술이 생성형 인공지능(AI)의 수혜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삼성전자 LG유플러스 등을 고객사로 둔 미국 로그 분석 업체 수모로직이 데이터센터를 새로 설치해 한국 시장을 공략하기 시작했다. 2033년 24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는 로그 분석 시장을 차지하기 위한 경쟁에 국내 보안기업들도 가세했다.

○“데이터센터 설치해 규제 대응”

지난달 30일 조 킴 수모로직 최고경영자(CEO·사진)는 서울 삼성동 그랜드인터컨티넨탈파르나스호텔에서 한국경제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아마존웹서비스(AWS)를 통해 이달 초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수모로직은 컴퓨터나 서버에 정보가 오간 기록인 로그를 시각화해 분석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AI 비서 빅스비, BTS(방탄소년단)와 뉴진스 등이 소속된 하이브의 자회사가 운영하는 팬커뮤니티 플랫폼 위버스, LG유플러스의 온라인 서비스 등이 수모로직의 로그 분석 서비스를 쓰고 있다.

로그 분석 기술은 교통 흐름을 분석하는 내비게이션과 비슷하다. 정보기술(IT) 서비스에서 문제가 생길 경우 개발, 운영, 보안 중 어디에 이상이 있는지 파악할 때 이 기술을 쓴다. 생성 AI 보급에 따라 로그 데이터가 폭증하면서 IT기업들은 로그 분석 없이 서비스 효율을 높이기가 어려워졌다. 지난 7월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오류 문제로 야기된 MS 클라우드발 IT대란도 업계에 로그 분석의 필요성을 일깨운 계기가 됐다.

수모로직이 한국에 데이터센터를 두기로 한 것은 규제 준수 과정에서 생긴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기존엔 국내 로그를 해외에서 처리하다 보니 규제상 해외 전송이 안 되는 개인정보를 고객사가 직접 로그 데이터에서 골라내 일일이 처리해야 했다. 개인정보 처리 전문인력이 없는 기업은 로그 분석 서비스를 도입하기가 불가능했던 이유다. 조 킴 CEO는 “한국 데이터센터를 활용하면 서비스 응답 속도가 빨라진다”며 “클라우드로 서비스를 공급해 로그 분석 수요에 탄력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시스코, IBM, 팰로앨토 등 각축

세계 로그 분석 시장은 지난해 시스코가 280억달러(약 37조원)에 인수한 스플렁크를 비롯해 IBM, 수모로직, 맥아피, 팰로앨토 등이 경쟁하는 구도다. 시장조사업체인 커스텀마켓인사이츠는 이 시장 규모가 올해 71억5000만달러(약 9조4400억원)에서 2033년 179억7000만달러(약 23조7300억원)로 2.5배로 커질 것으로 전망했다. 수모로직은 복잡한 코딩 없이 자연어로 로그를 분석하는 기능을 제공해 사업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구상이다.

국내에서도 로그 분석에 특화한 기업이 속속 나오고 있다. 로그프레소, 이너버스 등이 로그 관리 도구를 공급하는 가운데 시큐레이어, 이글루코퍼레이션, 파수 등 보안업체들이 로그 분석 솔루션을 내놨다. 송주영 LG유플러스 서비스플랫폼빌드그룹 연구위원은 “로그 분석 서비스로 사내 수백 개 서비스에 흩어져 있던 로그를 통합 관리할 수 있게 됐다”며 “엔지니어 간 기술 역량을 상향 평준화하는 효과도 생겼다”고 말했다.IT업계에선 클라우드 기반 주문형 소프트웨어(SaaS) 보급이 늘어나고 있다는 점도 로그 분석 시장에 호재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SaaS를 활용해 IT기업들이 여러 서비스의 운영 현황을 빠르게 확인해 사업 전략에 반영해야 할 필요성이 커져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국내 SaaS 시장 규모는 2020년 1조4409억원에서 2022년 2조1360억원으로 2년 새 48% 늘었다. SaaS 공급 기업은 같은 기간 780개에서 1324개로 70% 증가했다.

IT업계 관계자는 “빅테크가 만드는 로그는 하루에만 수천테라바이트(TB)에 달한다”며 “날마다 쏟아지는 로그를 관리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 변화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현 기자 dee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