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테크 참전에 원전 부흥?…"소는 누가 키우나" [김리안의 에네르기파WAR]
입력
수정
![사진=AFP](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A.38062992.1.jpg)
원전이 돌아왔다, 그런데…
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서구에서 수십 년간 정체돼 있던 원자력 산업이 올해 MS를 비롯해 구글, 아마존, 메타(옛 페이스북) 등 이른바 하이퍼스케일 빅테크들의 참전으로 들끓고 있다. MS는 최근 펜실베이니아주의 스리마일섬 원전을 다시 가동하기 위해 전력구매계약(PPA)을 체결한다고 발표했다.아마존은 지난 3월에 펜실베이니아주 서스퀘해나 스팀 전기 원전 옆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한다며 6억5000만달러를 투자했다. 빅테크뿐만 아니다. 세계 대형 은행들도 이달 초 뉴욕에서 열린 기후행사에서 원전에 대한 공개 지지를 선언했다. 메타의 최고 AI 과학자인 얀 르쿤은 X(옛 트위터)에 "AI 데이터센터는 기가와트 규모의 저비용, 저탄소 전력을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원전 옆에 건설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글을 올렸다.![사진=게티이미지](https://img.hankyung.com/photo/202410/ZA.38074882.1.jpg)
투자자들도 빅테크가 지불하려는 '원전 프리미엄'에 기대감을 키우고 있다. 헤지펀드 운용사 세그라캐피털의 한 관계자는 "새로운 원전 건설을 시도할 만한 시장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다"며 "정부가 새로운 원자력에 투자할 것이라는 재정적 약속을 공표하고 시장 수요도 확인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12개월 이내에 미국에서 대규모 용량의 신규 원전에 관한 발표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양이 목에 방울 달기"
그러나 원전 부흥 조짐이 용두사미로 끝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바로 돈 문제 때문이다. 건설 기한을 수년을 넘기고 예산도 수십억 달러 이상 초과하기 일쑤인 원자력 프로젝트의 리스크에 선뜻 베팅할 대형 투자자가 없다는 점이다. 한 빅테크의 데이터센터·원자력 부문 관계자는 "빅테크들은 결코 원전을 자산으로 소유하고 싶어 하지 않는다"며 "원전 투자가 빅테크의 본업은 아니지 않은가"라고 반문했다.빅테크 내부자들의 선긋기 발언도 잇따라 알려지고 있다. 구글의 캐롤라인 골린 에너지 시장 개발 책임자는 이번 뉴욕 기후행사에서 "빅테크들이 모든 원전 프로젝트의 위험을 감당할 수는 없다"고 경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토드 노에 MS 마이크로소프트의 원자력 담당 이사는 지난달 런던에서 열린 세계 원자력 심포지엄에서 "빅테크들이 신규 원전을 지원하기 위해 할 수 있는 최선은 좋은 가격에 장기 PPA를 맺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리안 기자 knra@hankyung.com